각종 명절(?)이 가득한 11월과 12월은 미국인들도 기분이 들뜨는 기간이다.  특히 Thanksgiving day가 다가오면서 미국에서는 11월 초부터 이미 블랙 프라이 데이 세일에 대해 미리 광고를 시작하기도 하고, 한국에서만 유난히 비싼값에 팔리는 물건가격 탓에 블랙프라이데이는 한국에서도 관심을 갖는 아주 중요한 날이 되었다.  최근 게임 관련 커뮤니티를 들락날락하면서 알게된 건데, "우리나라는 블랙프라이데이 같은 날 없나", 내지는 "우리도 그런 날 하나 만들자"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거다.  그런데, 정작 블랙프라이데이가 무슨 날인지, 왜 그날 세일을 크게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더라.  이 글에서는 블랙프라이데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는 글을 써보도록 한다.


Black Friday는 추수감사절, 그러니까 매년 11월 넷째주 목요일 바로 다음날인 금요일이며, 추수감사절은 꼭 미국에만 있는 날은 아니다.  추수감사절이 목요일인 이유는 1941년 미국 의회에서 법으로 정한 것인데, 며칠 쉬고 며칠 일하냐 등의 이유가 있어서 목요일날로 제정한 것이라고 한다.  사실 Thanksgiving day의 유래는, 영국에서 박해를 받던 청교도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왔는데 너무 먹을 것이 없어서 굶주리던 것을 미국 인디언들이 굶지않게 도와주고, 그것을 감사하기 위해서 지정한 날이라고 알고있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이 이야기는 1960년대 공존적책을 위해 널리 퍼진 허구적인 이야기이며, 사실은 기독교를 믿는 대부분의 유럽국가에서 늘 행하던 추수감사절을 미국으로 넘어온 청교도인들이 그대로 이어왔을 뿐이다.


미국에서는 한국처럼 구정 연휴나 추석 연휴처럼 긴 휴일이 없기 때문에, Thanksgiving day는 예외적인 아주 긴 휴일이며 그렇다보니 Thanksgiving day가 시작하는 목요일 전날인 수요일부터 이미 시작된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사람들의 마음이 들뜨는 날이다.  미국 전역에 뿔뿔히 흩어져있는 가족 구성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날이기도 하며, 그렇다보니 고향의 가족들을 위한 선물을 사기위해 11월 초부터 다들 엄청나게 쇼핑을 시작한다.  대신, 그날을 위해 10월 11월 동안 돈을 최대한 아끼고 모으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그런지, Thanksgiving day날은 식구들과 함께 집에서 오붓한 하루를 보내고 바로 다음날인 금요일날 식구들이랑 다같이 나와서 쇼핑을 즐기게 되었는데, 그것이 장부에 적자(red ink)에서 엄청난 "흑자" (black ink)를 기록하게 되어 회계상의 용어인 Black Friday가 되었다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이니, 남들이 하지않는 특별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좋아하는 글쓴이의 성격답게 다른 이야기를 해보자.  블랙프라이데이에는 어떻게 해서 50% 70%씩 세일을 할 수 있으며, 그렇게 세일하는데 어떻게 수익이 생길까?  왜 이러한 행사가 한국에서는 생길 수가 없는 것일까.


한국에서는 유통업체가 물건을 구입하지 않고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에 입점하고, 직원을 파견해서 판매하는 방식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백화점을 예를 들어보자.  글쓴이가 A 브랜드 사장인데, B 백화점에 옷을 팔고싶다.  그러면 글쓴이는 백화점 내에 일정한 공간을 임대하고 물건과 직원을 보내서 팔아야한다.  물건이 안팔리는 것은 모두 글쓴이가 부담을 지게된다.  백화점 입장에서는 아무런 부담이 없다.  일반적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긴 어려우니 유통 마진을 최대한 줄여서 파는 것이 보통인데,이 부분은 백화점이 하는 것이니 역시 손을 댈 수 없다.


반대로 미국에서는 백화점이 글쓴이에게 일정량의 옷을 대량으로 주문해서 직접 고용한 직원들로 판매를 하게되는데, 만약 이것이 안팔리면 당연히 백화점이 부담을 떠안게 된다.  따라서, 비록 싸게 팔더라도 안팔리는 물건들은 빨리빨리 처분하는 것이 낫기 때문에 블랙프라이 데이날 재고 및 이월상품을 한 방에 털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할로윈 데이 세일이니,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이니 하는 그런 폭탄세일을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미국에서 하는 것이 하도 인기가 많으니 그냥 흉내만 내는 것일 뿐.


글쓴이가 위에서 "재고 및 이월상품"을 판매한다고 적었다.  실제로 이날 여러 매장을 가보면 정작 살만한 물건은 별로 없다.  하지만, 재고 및 이월상품을 처리하기 위해서 일종의 미끼상품을 광고 전면에 내보내는데, 예를 들자면 100만원에 판매하는 TV를 30만원에 판매한다고 광고를 내고, 이것을 차지하기위해 몇시간 동안 줄을 서고 그 와중에 싸움이 나게되고 난장판이 되어버린다.  그런데 사람들 심리가, 다들 쇼핑을 하는 날이고 다들 이것저것 많이 사다보니 그러한 미끼상품을 못샀다고 하더라도 "그냥 구경이나 가보자"라는 생각에 가게되고, 또 막상 가게되면 뭔가 하나라도 사갖고오게된다.


글쓴이가 그동안 겪어본 블랙프라이데이는, 정말로 살만한 물건이 별로 없다.  위에 서술한대로 정말 "재고를 처리"하는 듯한 기분이며, 당일날 "세일"한답시고 파는 물건들도 자세히 보면 잘 안팔릴만한 물건들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그러면서 세일이라고 생색을 내는 듯한 느낌이다.  글쓴이가 느낀 "진짜 세일"은, 바로 이 블랙프라이데이가 끝나고 12월 중순부터 1월 말까지의 기간인데, 이때야 말로 정말 모든 물건들의 가격이 싸다.  다시 말하자면, "블랙 프라이데이 때에도 팔지 못한 물건들"과 함께 "신상이 이월상품 되버린" 이 시기에는 정말이지 모든 물건들이 다 싸다.  그래서, 글쓴이는 블랙 프라이데이 때에는 쇼핑하지 않는다.


관심있는 분들은 블랙프라이데이 이후의 가격을 주시해보자.

진짜 세일은 12월 중순에서 1월 말까지라고 생각한다.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웹서핑 하면서 돌아다니다가 알게된 팁을 공유한다.  일단, 다운로드 게임만 가능하며 씨디로 구입한 게임은 안되고, 당연한 말이지만 한국에 한글판이 발매되어야 가능하다.


1. 만약 현재 엑스박스원의 지역설정이 미국이 아니라면, 지역설정을 미국으로 바꾼뒤 재시작을 해준다.

2. 엑스박스원 스토어 메뉴에서 달러로 게임을 구입한다.

3. 구입 완료 후 다시 지역설정을 한국으로 바꾸고 재시작을 해준다.

4. 다운로드 한다.


글쓴이는, 엑스박스원 어쌔신 크리드 번들에 들어있는 게임들 (블랙 플래그, 유니티)과 Ryse: Son of Rome으로 테스트를 해봤고, 잘 된다.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글쓴이의 블로그를 보면 알겠지만, 현재 글쓴이는 나름 꽤 성능이 좋은 맥프로 (제온 E5 8코어 + D700)를 갖고있지만, 이걸로 게임을 하진 않는다.  맥프로 뿐만 아니라, 제온 E3를 장착한 데스크탑도 따로 한 대 더 있지만, 물론 이걸로도 게임을 하진 않는다.  그 이유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전기세 때문이다.


최신의 GTX 970 그래픽카드의 가격은 미국 아마존 기준, 대략 $360 정도이다.  그렇다.  엑스박스 한 대 가격이다.  미국에서는 콘솔의 가격이 싸서, 엑스박스원이랑 플레이스테이션4 모두 구입하는데 크게 부담이 되지도 않을 뿐더러 각종 할인도 많고 중고게임은 가격이 금방 떨어진다.  참고로, 글쓴이는 플스4과 엑박원 둘 다 보상판매로 전부 $525 주고 구입했다.


이번에 GTX 970이 나오면서 컴퓨터로 게임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을 했었다.  일단, 파워서플라이의 요구사항이 최소 550w 이상인데, 파워서플라이와 그래픽카드 가격을 합치니 대략 $500 정도 들어갈 것 같더라.  그래픽카드와 파워서플라이를 교체해서 제온 E3 데탑으로 게임을 할 것인가, 맥프로 8코어+D700 CTO라는 천만원에 가까운 컴퓨터로 게임을 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을 많이 했다가, 인터넷에서 어떤 자료를 하나 보고난 뒤로는 콘솔을 사기로 굳게 결정했다.


맥프로의 TDP는 대략 최대 350w이다.  성능치고는 상당히 저전력 워크스테이션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40인치 TV나 LCD 모니터 등을 연결하면 최소 500w 이상의 전기를 소모한다.  만약, GTX 970을 구입했다면 TV까지 해서 게임할 때 전기를 대략 최소 700w 정도는 소모할 거다.  참고로 글쓴이가 가진 48인치 LED TV는 전력소비량이 238w라고 한다.  그렇다면, GTX970에 코어 i시리즈 씨퓨를 탑재한 컴퓨터라면, 최소 700w 이상 들어갈 거다.  여기서 300w만 더 보태면 에어컨 쓰는 것과 비슷하다.  어떤가?  생각보다 전기를 많이 소모하한다고 생각들지 않는가?  그렇다면 대체 콘솔은 전기를 얼마나 소모할까?


엑스박스 원은 최대 120w 미만이며, 플레이스테이션 4의 전력소모는 최대 150w 미만이다.  이 정도면 컴퓨터에 비해 상당히 전기를 적게먹는다.  그나마도 저 정도가 게임 중일 때 소비전력이며, 게임 중이 아니라면 엑박원은 75w 미만, 플스4는 100w 미만이다.  글쓴이조차도 콘솔이 이렇게 전기를 적게 소모할 줄은 몰랐다.  참고로, 플스3와 엑박360 슬림 모델들은 더 적게 먹는다.


그래픽 수준, 한글패치, 가격 등등을 생각하면 당연히 PC가 낫다.  당연한 얘기지만 PC의 성능을 콘솔이 따라잡을 수는 없다.  그런데, 만약 글쓴이가 $360 투자해서 그래픽카드를 샀는데 2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  분명 "구형" 그래픽카드가 될 거다.  물론 이렇게 따지자면, 세월이 흘러도 콘솔의 그래픽 수준은 크게 달라지지 않긴 할거다.  기술 발전으로 인한 최적화는 있겠지만, 그게 2년 후에 나올 그래픽카드만큼 보여주진 못하겠지만. 


계속 돈을 들일 것이냐, 아님 한 번 사서 오랫동안 할 것이냐.  결국 선택은 각자 하는 거다.  플스가 낫네 엑박이 낫네 PC가 낫네 할 필요 없다.  걍 내가 하고싶은 걸로 하면 되는 것 뿐이지.  글쓴이는,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향을 선택한 것이고, 그 돈으로 PC 타이틀 가격보다 조금 더 비싼 콘솔 타이틀 구입하는 셈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http://www.extremetech.com/gaming/182829-new-report-slams-xbox-one-and-ps4-power-consumption-inefficiencies-still-abound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맥에서 내부 아이피를 차단해야할 일이 있어서 /etc/hosts.deny에 아이피를 넣어줬는데 여전히 ssh 접속을 받더라.  뭔가 이상하다싶어 알아보니, 맥에서는 조금 다르다.  설정은 간단하니,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먼저, /etc/pf.conf 파일을 열어, 가장 아래에 차단하고 싶은 IP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추가해준다.


block in from 10.0.1.22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sudo pfctl -e -f /etc/pf.conf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게임 

Xbox One

PS4

 Alien: Isolation

 1080p @30fps

 1080p @30fps

 어쌔신 크리드 4: 블랙 플래그

 900p @30fps

 1080p @30fps(패치시)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

 900p @30fps

 900p @30fps

 배틀필드 4

 720p @60fps

 900p @60fps

 배틀필드: 하드라인

 900p @60fps

 1080p @60fps

 Blacklight Retribution

 N/A

 1080p @60fps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1360x1080 @60fps

 1080p @60fps (targeted)

 콜 오브 듀티:고스트

 720p @60fps

 1080p @60fps(패치시)

 데드라이징 3

 720p @30fps

 N/A

 데스티니

 1080p @30fps

 1080p @30fps 
 디아블로 3

 1080p @60fps

 1080p @60fps 

 드래곤 에이지: 인퀴지션

 900p @30fps 1080p @30fps 
 드라이브 클럽
 N/A 1080p @30fps  

 Dying Light

 1080p @60fps (targeted)
 1080p @60fps
 EA Sports UFC
 900p @30fps 900p @30fps

 파 크라이 4

 1080p @30fps (targeted)

 1080p @30fps  (targeted)

 피파 사커 14

 1080p @60fps 1080p @60fps
 플라워

 N/A

 1080p @60fps

 포르자 호라이즌 2

 1080p @30fps  N/A
 포르자 모터스포츠 5
 1080p @60fps N/A
 골프 클럽
 720p @30fps 1080p @30fps
 GTA V

 1080p @30fps

 1080p @30fps

 헤일로: 마스터 치프 콜렉션

 1080p @60fps N/A

 인퍼머스: 세컨드 선

 N/A 1080p @30fps

 킬러 인스팅트

 시즌 1: 720p @60fps, 시즌 2: 900p @60fps

 N/A
 킬존: 쉐도우 폴
 N/A

 1080p @30+fps (SP), 960x1080 @60fps (MP)

 키넥트 스포츠 라이벌

 1080p @30fps N/A

 Knack

 N/A 1080p @30+fps

 로드 오브 더 폴른

 900p @30fps

 1080p @30fps

 메탈 기어 솔리드 5: 그라운드 제로

 720p @60fps

 1080p @60fps
 메트로: 리덕스

 912p @60fps

 1080p @60fps

 MLB 14: 더 스노우

 N/A

 1080p @60fps

 미들 어스: 쉐도우 오브 모르도르

 900p @30fps

 1080p @30fps
 마인크래프트 1080p @60fps 1080p @60fps

 Murdered: Soul Suspect

 1080p @30fps 1080p @60fps
 NBA 2K14
 1080p @60fps 1080p @60fps

 니드 포 스피드 라이벌

 1080p @30fps 1080p @30fps
 아웃라스트 1080p @60fps 1080p @60fps

 식물 대 좀비: 가든 워페어

 900p @60fps 1080p @60fps
 플래닛사이드 2

 N/A

 1080p @60fps

 프로 에볼루션 사커 2014

 720p @60fps 1080p @60fps
 Project Cars
 1080p @60fps 1080p @60fps
 Resogun N/A 1080p @60fps

 라이즈: 로마의 아들

 900p @30fps N/A

 쉐도우 워리어

 900p @60fps 1080p @60fps
 Skylanders: Swap Force

 1080p @60fps

 1080p @60fps

 슬리핑독스: DE

 1080p @30fps 1080p @60fps

 스나이퍼 엘리트 3

 1080p @~60fps 1080p @~60fps
 선셋 오버드라이브
 900p @30fps

 N/A

 Tearaway Unfolded

 N/A

 1080p @60fps

 The Crew

 1080p @30fps

 1080p @30fps

 이블 위딘

 900p @30fps, 1600x640 @30fps

 1080p @30fps, 1920,768 @30fps

 라스트 오브 어스 리마스터

 N/A

 1080p @60fps

 The Order: 1886

 N/A 1080p @30fps

 더 위쳐스 3: 와일드 헌트

 900p @30fps (1080p targeted)

 900p @30fps (1080p targeted)

 씨프

 900p @30fps

 1080p @30fps

 타이탄 폴

 900p @30fps

 N/A

 툼레이더: DE

 1080p @30fps, 900p @30fps (컷씬)

 1080p @60fps

 트라이얼 퓨전

 900p @60fps

 1080p @60fps

 Trine 2

 N/A

 1080p @60fps(2D), 720p @60fps(3D)

 언차티드 4

 N/A

 1080p @60fps

 워프레임

 1080p @30fps

 1080p @60fps
 워 썬더
 N/A 1080p @60fps

 와치 독스

 792p @30fps

 900p @30fps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

 1080p @60fps, 960x1080 @60fps

 1080p @60fps, 1760x1080 @60fps

 WWE 2k15

 1080p @60fps (targeted)
 1080p @60fps(Targeted)


어차피 엑원, 플4 다 있으니 사고싶은 걸로 사면 되긴하지만, 엑원은 좀 그렇네...


2014년 11월 6일 기준

출처: http://www.ign.com/wikis/xbox-one/PS4_vs._Xbox_One_Native_Resolutions_and_Framerates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