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에어비디오 서버를 설치할 수 있는 아주 쉬운 방법이 있는데, 국내 블로그를 뒤져보면 아주 복잡하게 적힌 글들이 전부 다였다. 따라서 필자의 초간단 매뉴얼을 공개한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데비안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설치해야한다. 본 포스팅 맨 아래에 데비안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적어놨다.

 

1. 먼저 자바를 설치한다. 필자의 매뉴얼을 참고하시면 되겠다.

http://jswlinux.tistory.com/entry/우분투에서-JDK-설치법

 

2. 우분투 저장소 목록에 에어비디오를 추가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rubiojr/airvideo

sudo apt-get update

 

3. 에어비디오 서버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airvideo-server

 

4. 설정파일을 적절히 수정해준다.

sudo vi /opt/airvideo-server/AirVideoServerLinux.properties

필자의 설정파일을 올린다.

path.ffmpeg = /opt/airvideo-server/bin/ffmpeg
path.mp4creator = /usr/bin/mp4creator
path.faac = /usr/bin/faac
password = 원하시는 비번을 넣는다. 공란으로 두면 비번을 묻지않는다.
subtitles.encoding = UTF-8
subtitles.font = NanumGothic
folders = Downloads:/home/user/Downloads,HardBox:/home/user/HardBox/Media/Movie_Clips (원하시는 경로를 넣는다)

 

5. 잘되는지 실행을 해본다.

$ airvideo-server 

만약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서 가만히 있으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DEBUG: SnapshotCache: Exception during SnapshotCache initialization: /home/jswlinux/.air-video-server/thumbnailCache.index.db (No such file or directory)
DEBUG: SnapshotCache: Trying to close index and data files
DEBUG: SnapshotCache: Second Attempt of SnapshotCache initialization failed: /home/jswlinux/.air-video-server/thumbnailCache.index.db (No such file or directory)2013-01-01 11:14:43.341::INFO: Logging to STDERR via org.mortbay.log.StdErrLog
2013-01-01 11:14:43.363::INFO: jetty-6.1.x
2013-01-01 11:14:43.389::INFO: Started SocketConnector@0.0.0.0:45631
DEBUG: PortMapperAction: Scheduling task PortMapperAction$2 (6027060)
DEBUG: StatusReportAction: Scheduling task StatusReportAction$2 (8573884)

 

6. 이제, 서버를 부팅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init 스크립트를 만든다. 위치는 /etc/init 이며 파일명은 airvideo.conf 라고 정한다. 파일명은 바꿔도 무방하며, 마우스 드래그 방지 때문에 설정파일을 첨부한다.

첨부파일: airvideo.conf

본인의 계정명은 jswlinux이므로 아래의 내용에 유의해서 작성한다.

start on (net-device-up
and local-filesystems
and runlevel [2345])
stop on runlevel [!2345]
respawn
exec sudo -H -n -u jswlinux LANG=en_US.UTF-8 /usr/bin/airvideo-server

 

7. 재부팅한다. 끝.

 

--------------------------------------------------

데비안용 패키지 목록. 마우스 드래그 방지 때문에 텍스트파일을 첨부했으니 필요하신 분께서는 받아가시면 되겠다.

첨부파일: airvideo-debian_package.txt

libopencore-amrnb-dev libopencore-amrwb-dev libsdl1.2-dev libtheora-dev libvorbis-dev libvpx-dev libx11-dev libxfixes-dev libxvidcore-dev zlib1g-dev libfaad-dev ca-certificates-java icedtea-6-jre-cacao icedtea-netx libaa1 libaudio2   libcaca0 libclucene0ldbl  libfaad2 libflac8 libgif4 libiodbc2   libjack0 libmng1 libmp3lame0  libnspr4-0d libnss3-1d libphonon4 libpulse0 libqscintilla2-8   libqt4-dbus libqt4-designer  libqt4-network libqt4-opengl  libqt4-ruby1.8 libqt4-script libqt4-sql libqt4-sql-mysql libqt4-svg  libqt4-test libqt4-webkit libqt4-xml libqt4-xmlpatterns libqtcore4 libqtgui4   libqtruby4shared2 libraptor1  librdf0 libruby1.8 libsamplerate0  libsdl1.2debian  libsmokesoprano3  libsndfile1 libsoprano4 libwavpack1 libxcb-shape0 libxcb-shm0  libxcb-xv0 libxine1 libxine1-bin libxine1-console libxine1-misc-plugins  libxine1-x libxslt1.1 libxvidcore4 libxvmc1 openjdk-6-jre  openjdk-6-jre-headless openjdk-6-jre-lib phonon  ruby  ruby1.8 soprano-daemon tzdata-java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su -

echo "deb http://ppa.launchpad.net/webupd8team/java/ubuntu precise main" > /etc/apt/sources.list.d/webupd8team-java.list

echo "deb-src http://ppa.launchpad.net/webupd8team/java/ubuntu precise main" >> /etc/apt/sources.list.d/webupd8team-java.list

apt-key adv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keys EEA14886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oracle-java7-installer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

맥을 써온지도 어언 4년째.

결코 길다고 할 수 없는 기간이지만, 마운틴 라이언이 나온 이 시점까지도 파인더는 너무한다싶다. 잦은 오작동, 다운, 충돌 등등. 이렇게 적으면 실감이 안가서, 그동안 겪은 파인더의 문제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1. 터미널 열어서 접속하면 업로드/다운로드 전부 이상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FTP가 왜 Finder에서만 업로드가 불가능한건지...

2. AFP든 SMB든 Finder에서만 접속하면 왜 대체 속도가 그렇게 느린지...

3. 왜 대체 그렇게 뻑하면 죽어버리는지...

다른 자잘한 부분은 생략하고 중요한 것 3가지만 적어봤다. 폴더부터 우선 정렬되는 문제나, 윈도우 탐색기와 비교되는 부분은 일절 언급하지 않고, 오로지 Finder 자체의 성능에 대해서만 적어봤다. 솔직히 맥의 Finder가 최악이라는 건 전 세계 맥 유저들이 공통적으로 공감하는 사실.

 

혹자는 Finder를 잘 안써봐서 그렇다고 하는데, 필자는 부팅하자마자 가장 먼저 클릭하는 게 Finder다. 자료가 많아서 그렇기도 하고, 이것저것 파일관리할 양이 많고, 또한 런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와 파일을 열기보단, 파인더에서 내가 작업해야할 파일의 위치까지 찾아간 후에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오는 형태가 습관이 들었고, 따라서 늘상 내 맥의 화면은 Finder만 2개 3개 기본적으로 열려있다. 그러니, Finder를  많이 안써봐서 잘 모른다는 건 동의할 수 없다.

 

하루는 내부 네트웍에 있는 SMB서버에 연결하려는데 자꾸만 에러나고 튕기고하다보니 하도 짜증이 나서 Finder의 대체품을 찾기시작했고, 그야말로 "물건"을 하나 건졌다. 이름은 Path Finder.

PathFinder

 

일단 기능부터 나열해보자.

1. Finder를 끄고 Path Finder를 기본 파일브라우저로 사용 가능.

2. 듀얼 모드(수직/수평) 및 탭 지원

3. 파일복사시, 사파리에서 다운로드 게이지와 비슷한 효 과

4. CMD+클릭 폴더시 새창으로 열지 탭으로 열지 설정 가능

5. 아이콘 클릭시 자동으로 더블클릭 적용

6. 파일 용량 표시할 때, 1GB를 1000MB로 표시할지 1024MB로 표시할지 설정 가능

7. 화면 하단에 2개로 나뉘어진 창에서 파일 미리보기와, 해당 파일의 상세정보 표시기능

8. 좌,우,하단의 접을 수 있는 날개 형태의 사이드바(Drawers) 기능. 좌: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과 폴더. 우: 최근 사용한 파일/폴더. 하: 터미널

9. 파일압축시 보이지 않는 파일들(. 으로 시작)은 생략 가능

10. 압축 포맷 선택 가능 (zip, bz2, gz, sitx)

11. 어플리케이션 런처 내장

12. 바탕화면에 휴지통 표시 가능

13. 향상된 Go to folder 기능

14. Dock에 Finder 제거 기능

15. 해당 위치에서 터미널 열기 기능 내장

16. 파일 북마크 기능

17. 파일의 경로 복사 기능

 

적다보니 너무 많아서 여기까지만 적는다. 얼핏봐도 정말 엄청나게 많은 기능이 지원되는데, 위의 내용이 다 적은 게 아니라는 사실. 특히 사이드바(Drawers)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이 꽤 많다. 한글화 역시 되어있다.

다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가격이 비싸다는 점. $40. 한달 동안 테스트해볼 수 있는 기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써볼 수 있다.

제작사 홈페이지는 여기. http://cocoatech.com/pathfinder/

단 하루만 써보고도 이렇게 맘에 드는데, 아무래도 이것 역시 트라이얼 끝나면 바로 사야겠다.

 

블로그 이미지

jswlinux

Seowon Jung의 잡동사니 보관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