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99건
- 2009.04.27 음악, 컴퓨터, 그리고 교회
- 2009.04.20 하와이대학교 학비인상에 대한 생각... 6
- 2008.11.12 젠투리눅스 설치 3
- 2008.10.27 하와이의 실체-2 14
- 2008.08.15 Summer School
- 2008.06.24 새마을금고의 실체 67
- 2008.03.27 Kansas school district provides free laptops
- 2008.03.21 하와이의 실체-1 18
- 2008.02.26 Superferry Practice Paragraph
- 2008.02.26 Now is the time that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in S.Korea
KCC의 이번 2009년도 여름학기 학비가 크레딧당 무려 $248이랍니다.
가면 갈수록 UH가 너무한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작년엔 얼마였을까요?
크레딧당 $200도 안했답니다. 제 기억으로는 $186 정도 했었던 것 같은데 이제 크레딧당 $248이면 살짝 과장해서 정규시즌이나 다름없는 학비가 나오네요. 여름학기 등록해서 수업 들어가면 교실에 앉아있는 학생 대부분이 유학생들 뿐이고 (현지학생은 여름학기 수업이 너무 힘들어서 잘 안듣는답니다)
이런 점을 노리고 학교에서 학비를 인상한 게 아닐까하는 생각마저 드네요. 186불에서 한 20불만 올렸어도 어느정도 납득이 가겠는데, 248불이라면 유학생들이 여름학기를 많이 듣는다라는 걸 노렸다라고 밖에 판단이 안가네요.
UH 학비 역시 마찬가지로, 불과 재작년만 해도 $7,000 이었던 학비를,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10,000까지 올리겠다던 계획안을 발표했고 제 주위 유학생들 반응은, 그래도 만불까지면 어떻게든 다녀볼만하지 않냐고 했답니다. 장학금 받고 어쩌고 해서 말이죠.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2011년도 학비를 보면 $12,000에 가까운 학비가 이미 산정되어있답니다.
( http://www.hawaii.edu/finaid/tuition.html )
유학생 학비만 올린 것이 아니니까 따질 수는 없겠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유학생의 학비와 현지인의 학비수준은 상상을 초월하죠. KCC의 Socialogy의 한 교수님은 현지학생들에게 늘, 유학생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학교를 다녀야한다고 강조했답니다.
제가 하와이로 유학을 온 것은, 물론 고모께서 하와이에 사시기 때문에 그런 것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결정적인 원인은
1. 학비가 본토보다 싼 편이었고,
2. 알바 구하기가 그래도 좀 나은 편인데다 수입도 괜찮았기 때문
이었습니다.
요즘 하와이에 알바구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 분 계십니까? 물론 몇몇분들은 이건 이래서 싫고 저건 저래서 싫고 일자리를 가려가면서 하는 분들도 있긴 있습니다만 확실한 건, 요즘 알바자리 찾기가 정말정말 어렵습니다. 그나마 있는 사람들은 안그만두고 붙어있을려고 할 정도죠. 특히 하와이에서 남자들이 할 일 찾기란 여자보다는 몇 배나 힘들고 어렵습니다.
어찌보면 한 5~6년 전 UH 학비가 $5,000 정도였었던 시절은 지금에 비해서 정말 쉬웠을 겁니다. 학비 싸죠, GPA 3.0만 유지해도 장학금 50% 정도 나왔을테니 $3,000도 안하는 학비 냈을테죠, 물론 KCC 학비는 더 쌌을테구요, 그때당시 하와이 경기 좋아서 팁잡 뛰셨던 분들 하루에 $150에서 $200 정도는 버셨을테고 게다가 집 렌트비마저 쌌으니 한 달에 $1,500만 벌어도 렌트비 내고 학비내고 생활비 쓰고 저축까지 가능했겠죠.
지금 싱글이신 분들 한 달에 $1,500 벌면 KCC 다니는 것도 간당간당 할 겁니다. 문제는 월 $1,500을 벌려면 팁 어지간히 나오는 데 아니고서는 정말 학업에 지장생길만큼 일해야한다는 거죠.
여러분들 중에서, 혹시 본토에 있는 대학들의 학비와 알바수입에 대해서 들어보거나 알아보신 적 있으십니까? 아마 대부분 모르실 겁니다. 다들 하와이가 싼줄 알고계시거든요. 적어도 제 주위 학생들은 그랬습니다.
저는 이번 가을에 뉴욕으로 갈려고 정말 심각하게 고민을 했고 계획을 세웠었습니다. 하와이에 어학연수 왔다 뉴욕으로 간 아주 잘 아는 유학생 몇 명 있어서 알아보니, 알바를 구하는 것 자체로서는 하와이랑 비교할 게 못된다고 하더군요. 워낙 사람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아무리 불경기라고는 하더라도 하와이만큼 알바자체가 없는 정도까지는 아니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면, 시간당 $8~$15짜리 팁없는 단순노동의 경우는 뉴욕에서 거주하는 유학생들이 기피하는 알바 중 하나라고 하구요, 팁나오는 웨이터 같은 일만 아니고서는 단순노동 알바의 경우는 알바구하기가 쉽답니다. 그런데 요즘 하와이는 그런 일자리조차도 안나오죠.
물론 뉴욕의 알바는 하와이랑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오전/오후 구분이 따로없이 무조건 all-day구요, 워낙 사람이 많은 곳이다보니 인간관계가 좀 삭막하다는 점, 그리고 팁이 나오는 곳은 일당주는 곳이 거의 없다는 점, 유학생이 알바를 하는 점에 있어서 불법이라는 이유로 심하게 거부감을 가진 사람들이 무수히 많다는 점 등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즉, 하와이처럼 요즘 경기 때문에 유학생 알바자리 없어서 고민이라고 글 올렸다간 욕먹기 십상이라는 겁니다. 불법주제에 무슨 알바냐구요. 공부하러 왔으면 공부만 해라라는 식입니다.
뉴욕의 학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뉴욕주립대 (SU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학비 - 한 학기당 약 $5,800 + 그외 기타 Fees $1,000 = 대략 $7,000 이내.
( http://www.suny.edu/student/paying_tuition.cfm, 본 페이지에 적힌 학비는 1년치 입니다.)
뉴욕시립대 (CUNY, City University of New York)
학비 - 크레딧당 $360 (12크레딧이면 $4,320 이라는 쇼킹한 액수가 나옵니다)
( http://web.cuny.edu/admissions/undergraduate/tuition-fees.html )
그외 라스베거스에 있는 네바다 주립대 역시 한 학기 학비가 7천불 내외이며, 조지아 주립대학교는 크레딧당 $810 로써 12크레딧이면 하와이 주립대학교랑 비슷합니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건 아닙니다만 제가 들은 얘기로는 조지아주의 경우 외국인이라도 1년 이상 거주하면 현지인 학비로 학교를 다닐 수 있으며 뉴욕의 경우 유학생이든 심지어 불법체류자라고 하더라도 뉴욕에서 4년 이상 거주하면 현지인 학비를 적용해준다고 합니다. 뉴욕시립대학교 현지인 학비는 한 학기에 겨우 $2,000 입니다.
(조지아 주립대학교: http://www.gsu.edu/es/27721.html )
제가 이 얘기를 다른 학생들에게 하면 다들 이런 얘기를 합니다.
"형, 네바다 주립대 거기는 카지노 관련학과 말고는 별로 알아주지도 않는 학교에요"
"뉴욕시립대 학비가 그렇게 싸면, 싼 이유가 있겠죠"
사실, 네바다 주립대에 대한 의견은 어느정도 맞긴 맞는 말입니다만, 뉴욕시립대의 비지니스 계열은 뉴욕 내에서도 알아주는 학교입니다. 특히 뉴욕시립대 캠퍼스 중 Baruch college (비지니스 대학, 4년제)를 졸업하면 (특히 Accounting) 유학생이라고 하더라도 취업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을 정도라고 합니다.
하와이 대학교는, 과연 졸업하고 나서 본토로 취업하려하면 취업이 될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서울에 있는 회사에서, 제주대학교에서 나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상경한 대학생을 어떤 시선으로바라볼까요?
언어학 관련이나 컴퓨터 공학의 경우 UH가 미국 내에서도 유명한 건 사실이니 이건 인정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다만, UH 비지니스 계열을 전공하시는 분들이 늘상 하시는 말씀이 UH의 비지니스 쪽은 본토 쪽에서도 알아준다라고 말씀들 하시는데, 본토에 계시는 분들한테 그런 얘기해보면, 섬나라 대학 나와서 뭐 어디 명함이나 내밀겠냐고들 하십니다. 물론 과장&농담이 진하게 섞였긴 했지만 본토에서 봤을 때 하와이는 작은 섬입니다.
농담삼아 Hawaii is not America 라고 말하는 본토 백인애들 농담처럼요.
제가 전공하려는 게 Accounting이라서 비지니스를 예로 들었지만, 현실적으로 TIM 전공하시는 유학생 분들, 하와이에서 UH TIM 나와서 취업이 거의 안된다는 거 알고계십니까? 취업이 되더라도 OPT 기간 중에 취업한 분들이 그나마 행운이 약간 있었을 뿐, 그분들 H1B까지 가는 분들 하나도 못봤습니다. 호텔관련 취업은 여기 1.5세 한국인들 중에서 UH TIM을 졸업한 영어가 아주 유창한 분들도 취업이 거의 안되는 분야입니다.
특히 Accounting에서 Big4라고 불리는 회계법인 중 세계적으로 유명한 Deloitte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회계전공하는 분들은 다 아실 거고, 회계전공자면 당연히 알아야합니다. 기본 상식이죠. 라면회사에 취업하고자 하는 분이 농심이란 회사를 몰라서는 안되는 것 처럼요.
하와이에 이 회사의 지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의 하와이 지점에서는 절대로 유학생은 채용하지 않습니다. 인턴으로도 채용하지 않습니다.
뉴욕 등의 본토는 어떤지 아십니까? 제가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만, 유학생으로 Big 4에 진출하신 한국분들 많습니다. 해커스 취업게시판 가면 이런 분들 널리고 널렸습니다. 절대로 유학생은 채용하지 않는 이 회사의 하와이 지점. 시사하는 바가 뭘까요?
물론 어느쪽도 정답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제가 아는 사람들이, 모든 미국 기업체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도, UH 졸업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도 아닙니다. 아이비리그를 나왔던 UH를 나왔던, 취업하는 것은 모두 개인의 역량에 달려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다만 제가 다른 KCC 유학생들보다 나이가 조금 많고 결혼을 했다는 점, 그러다보니 나이가 조금 있으신 현지인 분들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는 점, 그리고 금융권에서의 경력이 3년 정도 있었다보니 그쪽으로 바라보는 시선과 정보를 접하는 면이 달랐을 뿐입니다.
단지, 제가 이 글에서 얘기하고 싶은 건 UH의 수준이나 순위, 평판을 얘기하려는 게 아니라, 본토의 다른 이름있는 유명한 대학들에 비해 과도하게 비싼 학비를 책정하는 UH가, 과연 그 정도 금액의 학비를 내고 다닐만한 학교인지, 그리고 비싼 학비를 낼 수 없는 제 자신이 한탄스러울 뿐인 겁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본 글은 퍼온 글이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한 글임을 밝혀둡니다.
젠투리눅스를 설치했다. 5년만이다. 1.4 버젼을 설치하고 6개월 가량 사용하다,
내 평생 데탑에 처음 리눅스를 지워버린 이후 처음이다.
이쯤에서 늘 나오는 게 있다. 자기소개다.
난 늘 내 소개하는 게 재밌다. ㅎㅎ 그래서 내 소개를 꼭 넣는다.
본인은 회계학을 전공하고 있는 30대 초반의 늦깍이 학생이다. 이전의 직업은 은행원이었다.
그런데 어떻게 리눅스를? 그냥 취미일 뿐이다. 진짜다. 유닉스라는 OS가 좋다. 적어도 윈도우보단.
게다가 본인은 프로그래밍을 전혀 할 줄 모른다. 간단한 html 정도? 프로그래밍엔 소질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컴파일하다 에러나면 고칠 능력이 안된다. 대신 전직이 은행원이어서 돈은 잘센다.
나는, 나름 한국에서는 리눅스 유저 1세대라고 할 수 있다(라고 말하고 싶다). 96년 슬랙웨어 2.2를 시작으로
처음 리눅스에 손을 댔으니 나도 별의별 배포판을 다 써봤다. 그리고 현재는 매킨토시를 쓰고있는데 원래
맥이 BSD 기반이라 리눅스 만지는 거랑 비슷한 느낌을 줘서 그닥 심심하진 않았으나, 현재 갖고있는
구형 노트북이 이젠 우분투 8.04부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 안되겠단 생각이 들어 뭔가 가벼운게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울 와이프가 인터넷으로 드라마랑 쇼프로 보는데 노트북 느리다고 짜증을
자주 내신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FreeBSD였다. 그런데 내 랩탑에 설치가 안된다. 커널 패닉이다. 제길.
FreeBSD만 설치되면 BSD를 배워볼 생각이 있었단 말이다. 맥이 BSD 기반이니깐.
어쩔 수 없이 패스.
우분투 6.10을 설치해봤다. 오~ 열라 빠르다. 그런데 업데가 안된다. 그렇지. 너무 오래된
것이라 지원이 끊겼다....
결국 다시 우분투 8.04로 돌아갔는데, 예전엔 이렇지 않았던 내 랩탑이 많이 힘들어한다.
그래도 나름 펜티엄 셀러론 D에 3.0GHz다. 램이 768메가라서 아쉽긴 하지만.
방법은 하나 뿐이라는 것을 느꼈다. 내 랩탑에 최적화시킬만한 운영체제를 찾는 것.
그것은 바로, 젠투리눅스였다.
문제는, 내가 리눅스를 안만진지 벌써 5년째라는 거다. 사실, 젠투 써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젠투는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이 들어가는 배포판이다. 물론 내가 뭘 해야하는 건 아니다.
리눅스가 다 알아서 유지보수 하는 것이지만, 업데이트가 2-3주일 정도 밀리기라도 하면 새벽내내
업데이트 하느라 컴퓨터 켜놔야한다. 대체 젠투를 위해서 컴퓨터를 켜놓는 건지, 날 위해서
컴퓨터를 켜놓는건지 모를 정도로 전기세가 아까웠다. 컴의 주인은 나란 말이다.
예전에 은행다닐 때, 퇴근해서 집에 돌아와 티비 보면서 쉴 수 있는 3-4시간을 패키지 컴파일
하면서 시간때우다보니, 아 이건 아니다 싶었다. 그때가 2005년도쯤 된 거 같다. 결국 96년 내가
처음으로 리눅스를 만나본 이래 내 컴퓨터에서 리눅스를 지운 최초의 날이 되었다.
이후, 리눅스를 만지지 않고, 즉 삽질하지 않고 사니까 너무너무 편하고 좋았다.
그런데 오늘, 젠투를 끝으로 종친 내 리눅스 생활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그것도 젠투로 다시.
다들 궁금하실거다. 왜 하필 궁극의 배포판인, 삽질의 최고봉인, 극악의 배포판인 젠투냐고.
솔직히 말씀드린다. 젠투설치는 쉽다.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렇지 쉽다. 진짜다.
그런데 다들 어렵단다. 웹서핑하다 보면, 너무 어려워서 엄두가 안난다느니 젠투설치하신 분들은
존경스럽다느니 난리법석이다.
죄송하지만 오바들 하지 마시라. 제발 부탁이지만 시도만이라도 해보시라.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내가 울 와이프한테 늘 강조하는 것이지만, 빨래는 세탁기가 한다. 다만 어떤 코스로 할 것인지
어떤 세제를 넣을 것인지만 사람이 결정하는 것이다.
젠투설치 마찬가지다. 코스 정하고 세제만 부어주면 나머지는 알아서 해준다.
혹자는 이렇게 말씀하실 수 있다.
"니는 해봤으니 쉽다고 하겠지만, 처음 설치해보면 다 어렵다고~!!!"
죄송하다. 젠투설치는 정말 어렵지 않다. 정말이다. 나는 처음 설치할 때도 한개도 안어려웠다.
그냥 핸드북만 보고 그대로 따라했을 뿐이다.
이번 젠투설치에는, 버튼만 눌러주면 끝나는 genkernel의 커널컴파일 도중 모듈컴파일이 실패하는
어이없는 경우가 생겼다. 그래서 본인이 직접 make menuconfig 해서 옵션 세팅 골라주고 커널을
컴파일했다.
솔직히 말해, 커널 컴파일하는 방법은 다 까먹었다. 심지어는 make mrproper, make menuconfig
하고 나서 make dep을 치니까, 이제는 더이상 dep이 필요없다는 메시지까지 봤다. ㅎㅎㅎ
그리고 혹시 몰라서 make clean까지도 쳐봤다. 아무 메시지도 안나오더만.
옛날에 내가 리눅스 쓸 때는 커널을 반드시 컴파일해서 써야만 했었다. 왜냐면 국내 컴퓨터
환경이랑 맞지않은 기능이 너무 많이 들어가있어서 이것저것 빼야할 게 많았었다. 물론 커널
1.4 시절에는 간단했지만 ELF 바이너리와 함께 등장한 모듈이 적용된 2.0 커널부터는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래도 그닥 어렵진 않았다. 어차피 누군가가 한글로 번역해주신 매뉴얼
보면서 했었으니깐.
어쨌든, 그런 시절을 겪은 나로서는 커널 컴파일은 내가 직접 해도그만 안해도 그만인 것이었지만
이제와서 엄청나게 비대해진 2.6 커널의 옵션의 모든 기능을 일일히 인터넷 찾아가면서 확인할
시간도 없었고, 그러기도 귀찮았고, 또 요즘은 굳이 커널을 컴파일하지않고 범용으로 컴파일되서
나오는 기본커널만 써도되는 시대이기 때문에 일부러 안건드릴려고 했던 거다.
근데 genkernel이 컴파일에 실패하니깐 내가 직접 하는 수밖에 없지않나. 결국 기억 속에 남는
명령어인 make menuconfig를 쳤다. 역시 모르는 것 투성이다. 일단 Experimental은 절대 선택
하지 않았고, 내 랩탑 하드웨어와 전혀 다른 칩셋들은 아예 빼버렸다. 구형이니 스카시 항목자체도
아예 체크하지 않았다. (원래 씨디 구울려면 스카시가 아니라고 해도 선택해야한다)
기타 나한테 없는 하드웨어, 맞지 않는 하드웨어는 싸그리 지워버렸다.
결국, genkernel로 5시간 동안 컴파일했다가 모듈컴파일에서 실패한 기본커널이, 내가 직접
고른 기능으로 컴파일하니깐 30분도 안되서 끝나는 게 아닌가.
아무 에러 없이 아주 심플한 (이것저것 다 빼버리고 필요한 것만 넣은) 맞춤형 커널이 탄생했다.
아~ 열라 빠르다. 진짜다. 물론 X를 안띄워봐서 잘 모르겠지만 아직은 빠르다.
더 얘기해보면, php를 컴파일하는데 에러를 냈다. 난 프로그래머도 아니고 전산전공자도 아니다.
하지만 에러메시지 보고 해결을 했다. 이건 나만 할 줄 아는 게 아니다. 에러메시지를 차근차근
읽어보면 다 해결할 수 있다.
그렇담 왜 어렵다고 느끼시는 줄 아시는가?
그건 바로, 젠투를 설치하시려는 분들이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웹서핑하다보면, 젠투설치하다 무슨 파티션을 날려먹었네, 뭘 다 지워버렸네 하신다.
왜 파티션을 날려먹을까? 파티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드디스크는 기본적으로 4개의 Primary 파티션만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상의 파티션을 원하면
Logical 파티션을 만들어야하는데, 이것은 디렉토리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겠다.
즉, 1 2 3이라는 Primary 파티션이 있는데, 3개의 파티션이 더 필요하다면 4 라는 Logical
partition을 만들고 그 안에 3개의 파티션을 더 만들면 된다는 얘기다. 폴더를 만들어서
집어넣는다는 얘기지.
그렇다면 번호는 어떻게 매길까? 무조건 먼저만든 순서다. 아니, 엄밀히 말하자면, 하드디스크상의
위치에 따른 순서대로다. 리눅스에서는 파티션의 위치까지 어느정도 지정할 수 있지만, 대개는
윈도우와 듀얼부팅 하시지 않는가. 당근 윈도우는 지밖에 모르므로 무조건 첫번째 파티션이
되는거다. 그러니 1번 파티션이 되겠지.
이것만 알면 되는데 리눅스 설치하면서 파티션 날려먹을 일이 있을까? 도스의 fdisk 처럼 키보드
누르는 순간 날라가는 것도 아니라 wq 눌러서 세이브 해야 적용되는 리눅스의 fdisk 이건만...
내친김에 하나만 더 얘기하자. 그러면 hda hdb sda sdb 이건 또 뭘까 .
hd는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일 경우 hd로 시작되며 하드가 한 개 있으면 hda이다. 두개가 있으면
두번째는 hdb가 된다. 그러면, 두번째 하드디스크의 두번째 파티션은? hdb2가 되겠지. 쉽지?
기초를 다지도록 하자. 기초가 없으면 파티션에 대한 중요한 기본개념인 파티션 ID도 이해가 안간다.
참고로 본인은, 리눅스를 접한 96년도부터 지금까지 단 한번도 파티션을 날려먹은 적이 없다.
다음, 설치가 어렵다는 분도 역시 마찬가지다. 리눅서라면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다들
잘 아실거라 본다. 모르신다면? 디렉토리가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한 번쯤 뒤지고 다녀보자.
이건 리눅서로서의 기본 소양이다. 그런 다음 /etc 디렉토리를 뒤져서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좀 보자.
본 글은, 젠투 설치를 걱정하는 분들을 비난하려거나 혹은 깔보거나 하려는 글이 절대 아니다.
해보기도 전에 어렵다느니 엄두가 안난다느니하는 얘기들 하지 마시고, 그냥 무작정 해보시라는 거다.
리눅서의 기본 소양 중 하나인 무대뽀 정신이 요즘 리눅서들은 없나? 게다가 위에도 얘기했듯, 여러분들이
며칠씩 타이핑 해가면서 컴파일하는 건 아니잖는가. 젠투의 스크립트들이 알아서 다 설치해주니 걱정하지
마시라. 15년 전의 나처럼 286AT에 하드 40메가짜리 홀랑 날려먹고 밤 새도록 xcopy *.* c: 쳐가면서
복구시켜 담날 학교에 눈 뻘개져서 학교가는 시대는 아니라는 거다. 백업만 잘해놓으면 무서운 게 뭐있나.
물론 백업해놓을 여건이 안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런 분들은 어쩔 수 없다. 실력만이 살 길이다.
그래. 인정할 건 인정해야하는 게, 젠투가 다른 배포판에 비해서는 좀 알아야할 게 많긴 많다. 누구나 다
처음부터 알고서 시작하는 건 아니고, 다 하면서 부딪치는 거지. 나도 그랬으니깐.
참고로 본인은, CFlags 최적화 옵션 찾아낸다고 젠투 베이스 시스템과 X를 7번이나 빌드했다. 7번이면 며칠을
했는지 계산이 되시는가? 그렇게 컴파일한 후에 만들어진 내 시스템은, 다른 배포판에 비해 얼마나
빨랐을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만족감과 성취감은 최고였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배운 내 젠투리눅스의 설치
방법은 5년이 지난 지금 비전산전공자인 내 머리 속에 아직도 그대로 박혀있따.
또한, 젠투는 리눅스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이 있는 분들이어야한다. 아직 파티션이 뭐고 스왑이 뭐고 하시는
분은 젠투를 설치하실 때가 아니다. 이분들이 "엄두가 안나요"라고 말씀하시는 건 봐드린다.^^
이분들은 리눅스보다는 일단 컴퓨터에 대한 공부부터 하시는 게 우선이겠다. "에이~ 내가 그 정도는 다 알지~"
하시면 우분투 같은 쉬운 배포판 쓰면서 이것저것 만져보는 게 제일 실력 오르는 방법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쉬운 것만 쓰면 실력이 안오른다. 윈도우 95의 등장 이후로 컴퓨터를 갓 접한 이들에게
DOS는 아무 필요없는 물건이 되어버렸고, 그로 인해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도 고칠 능력이 없어지게 됐다.
적어도 DOS를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은 (나 역시) 윈도우98 심지어는 XP까지도 커맨드모드로 부팅해서 OS를
고칠 줄 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컴수리 사업을 하시는 분들도 있을 거다.
컴고치시는 분들 중에 실력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날 때는, 매우 원론적(이라고 말하면 어감이 좀 이상하지만)인
부분까지 모두 알고있는 사람과 윈도우부터 만지기 시작했던 사람이 low-level에 해당하는 에러를 만났을
때다.
서두를 좀 짧게 쓸려고 했는데, 이노무 입방정 땜시 자꾸 길어진다.
옛날 한 13 ~ 4년 전에는 하드디스크 내부에 있는 헤드를 안전한 공간으로 파킹시키는 프로그램이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유행이라고 보기엔 누구나 반드시 써야하는 필수적인 툴 같은 것으로 인식될 때가 있었다.
아~ 옛날 생각 난다.
하드디스크가 지금만큼 빠르지 않다보니 하드디스크를 로우레벨 포맷할 때 설정하는 인터리브라는 옵션이
있었는데, 이것이 무슨 기능인지 알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의 물리적 그리고 논리적 구조에 대해서까지
알고있었어야만 했다. 그때 당시 3:1이 가장 낫느니 2:1이 가장 낫느니 하다가 하드디스크가 발전하면서
2:1이 되어버렸고, 계속된 기술발전으로 이런 옵션은 없어져버렸다. 없어졌다기보단, 바이오스 차원에서
알아서 계산해준다. (이게 뭔지 설명을 해드리고 싶은데, 이걸 설명하려면 그림을 그려야한다.
정말 궁금하시면 여기를 보시라)
대강 설명을 해드리자면, 하드디스크의 원반이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선 같은 것으로 구역이 나눠져 섹터로
구분되어있다. 그런데, 1번 섹터의 내용을 읽어야하는데 하드디스크가 너무 빨리 돌다보니 미처 내용을 다
읽지못하고 다음 섹터로 넘어가버리면, 헤드는 1번 섹터가 다시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그러다보니
시간의 낭비가 생기고 시간의 낭비는 곧 처리속도로 연결된다. 그래서 이걸 줄이고자 로우레벨 포맷을 할 때
헤드가 섹터를 나누는 나름의 효율적인 순서를 정해놓을 수 있게 해놓은 옵션이었다.
그렇담 이게 리눅스와 무슨 상관일까? 옛날엔 컴퓨터를 쓰면서 어느정도 유비/보수, 혹은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이런 공부를 해야했었다라는 점이다.
가장 추천해드리는 방법은 내가 97년도에 경험했던 WindowMaker라는 윈도우 매니져로 데탑을 예쁘게 구성
하는 거다. 여기서 꽤 많이 배웠다. 물론 시스템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리눅스에 대한
거부감은 없어지게 된다. 즉, 윈도우에 뭔가 문제가 생기거나 불만이 생기면 직접 뜯어고칠 수 있다라는 것을
가르쳐주는 있는 좋은 윈도우매니져다.
일단, 젠투 사이트로 가서 최신버젼을 확인하고 젠투사이트에 있는 설치매뉴얼을 한 번 쭉
훑어봤다. 어라 조금 다르다. 1.4 인스톨할 때랑 많이 다르다. 시스템 빌드하는 건 온데간데 없고
무슨 라이브씨디로 설치하란다.
웹서핑 해보니깐 인제 스테이지 1,2는 추천하지 않는단다. 왜지? 스테이지 1,2로 하는 맛에
젠투 쓰는 건데, 스테이지 3부터 하라면 그냥 우분투 쓰지 뭐하러 젠투 쓰나.
물론 패키지 설치하는 것마다 컴파일해서 쓰는 장점이 있겠지만, 어쨌든 젠투의 맛은 시스템을
처음부터 끝까지 내 시스템에 맞게 빌드하는 게 맛 아니겠나.
좀 더 웹서핑을 해보니깐 젠투의 설치방법과 릴리즈의 차이는 아무 것도 없단다. 구버젼 설치해도
시스템 전체를 업글하면 새 릴리즈랑 똑같아진단다. 역시 이 유연함.
아무래도 신분이 학생이니깐 시간이 없고 노트북도 구리니까 스테이지3으로 할까 했다. 그래서
라이브씨디 받아놨는데, 위에 써놓은대로 그럴려먼 뭐하러 젠투를 설치하나. 스테이지 1부터
시작했다.
본 글은 여기까지만 쓴다. 설치단계부터는 자세히 설명드리겠다.
위에도 언급했지만 본인은 비전산전공자에 프로그래밍은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사람이다.
또한 본인 역시 다 까먹은 상식으로 인해 수많은 검색과 수많은 분들의 블로그, 설치기를 참고하면서
설치를 했다.
본인이 잘못 적었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게 있다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지껄이지 마라는 말씀보다는
한 수 가르쳐주신다는 의미로 답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다.
본 글은 퍼온 글이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한 글임을 밝혀둡니다.
드디어 하와이의 실체 2편을 쓰게됐다.
실은, 뭐에 대해서 써야할지 한참을 고민했는데 이제서야 생각이 났다.
뭐, 1편에 워낙 방대한 부분에 대해 썼기 때문에 쓸게 없을 수도 있다.
어찌보면, 1편에 적힌 하나하나의 주제에 대해 쓰기 시작하면 엄청 많은
글이 나올 수도 있겠지.
이번 글은 인종 특히, 마이크로네시안, 그리고 사모안에 대해서 써볼려고 한다.
사모아, 마이크로네시아는 워낙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고 다들 한 번씩은
꼭 가보고 싶은 섬이기도 해서 잘못하면 내가 그사람들 인식을 죄다
버려놓는 수가 생겨서 조심스럽긴 하다. 그래서 미리 말씀드린다.
"이건 어디까지나 내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한 글이다"
자. 다시 한 번 본인에 대해서 소개해본다.
2007년 3월 하와이로 유학을 오게 된 늦깍이 유학생이다. 늦깍이라함은, 단순히
나이가 많음을 의미하진 않는다. 나이도 많아야하며, 무엇보다도 석/박사 코스가
아닌 어학연수부터 커뮤니티 칼리지, 그리고 4년제 대학의 코스를 밟고있는
30대를 의미하지 않나 싶다. 개인적인 의견이다.
본인은 30대 초반의 나이로서, 한국에서 은행원을 약 3년간 하다가 문득 유학을
가야겠다는 생각에 안정적인 직장에도 불구하고 경영학을 해보겠답시고 무작정
유학을 오게 됐다. 처음엔 그냥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만 졸업하려고 했는데,
다들 한 번 왔으면 4년제까지는 하고가야하지 않겠느냐하는 소리에 혹해서
4년제를 가기 위한 코스를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밟고있다. 전공은 Accounting이며
이 글을 쓰는 2008년 10월 현재 하와이 Kapiolani Community College에서 3학기째
다니고 있다.
<Kapiolani Community College의 Great Lawn>
1편에 많은 이야기를 썼으니 거두절미한다.
하와이에는 엄청나게 많은 아시아인들이 살고있다. 물론 미국은 미국이지만 대부분이
아시아 사람들이다. 그래서 미국 내에서 아시아사람들 살기에 가장 좋은 state이다.
특히 학교에서 수업들을 땐, 예를 들어 울 반의 총원이 40명이라면 그중 백인은 10명도
채 안된다. 그 이하일 때도 있다.
보통 인종별 구성은 단연 일본인이 제일 많다. 한국인으로서 얘네들 쪽수 많은 건, 솔직히
좀 기분이 나빠도 어쩔 수 없다. 왜냐면 "Japan"없는 하와이는 상상이 안되기 때문이다.
정계, 재계부터 시작해서 모든 분야에 일본인이 기본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얘네들
이민역사가 한국과 더불어 워낙 오래됐기 때문에 자기들이 일본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건 한국애들도 마찬가지지만 어쨌든 본인들은 일본인 피를 갖고있지만 일본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다. 그냥 지들 ethnicity가 Japanese 일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한 가지 개인적인 의견은, 일본여자애들 피부가 참 하얗다. 정말 아주아주 뽀얗다.
옛날 그 못생긴 일본애들은 어디가고, 정말 다 괜찮은, 키도 크고 얼굴도 하얗고, 외모도
나름 괜찮은 애들만 보인다. 한국애들이 우스개 소리로 하는 말이 품종개량 많이 됐다고는
하지만 고등학교 때 본인학교, 일본 모 고등학교랑 자매결연 맺어서 매년마다 일본 고딩들
찾아왔는데, 그때 생각하면 얘네들은 정말 침 넘어갈만한 수준이다.
그 다음으로는 필리핀애들이 많다. 필리핀이 옛날부터 미국의 속국 아닌 속국이어서
3D 업종으로의 이민을 많이 받아줬다고 한다. 그래서 캘리포니아에도 필리피노가 많다고
한다. 얘네들 직업은 거의가 간호사 내지는 3D 업종이다. 얘네들은 한국/일본애들이랑
달라서 공부에 별로 관심이 없다.
쓸데없는 얘기를 좀 해보면, 필리핀 여자애들은 몸매가 정말 좋다. 역시 개인적인 경험이니까
다들 다르겠지만, 여기 하와이에서 내가 본 필리핀 여자애들은 몸매가 진짜 좋은 편이다.
정말 군살하나 없이 나올데는 전부 빵빵하다. 다만 쭉쭉은 아니다. 어쨌든 군살하나 없이
잘빠졌다. 그리고 필리핀 애들은 대학에서도 쉽게 볼 수 있어서 다른 동남아 애들보단 그래도
좀 낫다.
<이 분은 혼혈이긴 하지만, 어쨌든 여기 필리핀 애들 몸매 이 정도는 어느정도 나온다>
백인들은 어떨까.
본토에서는 소위 White trash라고 불리우는 인생 막가는 애들이 있다. 뭐, 하와이도 이런 애들이
없지는 않은데, 백인이라고 해서 다 교육수준 높고 예의바르고 교양있고 매너 좋은 건 아니다.
백인들도 못살고 못배웠고 무식한 사람들 많고 돈에 대해서는 아주 짜다.
뭐 이런 건 본토에도 있는 상식적인 거니깐 내가 살고있는 하와이의 백인들에 대해서 설명해보자.
백인은 하울리Haole라는 하와이 언어로도 부른다. 하울리는 외국인이라는 뜻의 하와이어인데,
옛날 하와이에서는 외국인들이 모두 백인이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그 뜻이 이어져온다고 보면 된다.
하와이의 백인들은 기본적으로 동양인에 둘러쌓인 소수의 인종이기 때문에, 동양인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르다. 동양인과 사귀고 결혼하는 것에 있어서 아무런 거부감이 없는 애들이다. 이게
얼마나 큰건지는 외국에서 안살아보신 분은 모른다.
특히, 하와이는 백인+동양인의 mix들이 많은데, 물어보면 할머니가 한국사람, 엄마가 일본사람
이런 식이어서, 일단 집안에서부터도 동양인이랑 같이 살아왔으니 그들이 자기와 다르다고 생각할
일이 없지 않은가. 게다가 유치원엘 가도 백인은 몇 명 되질 않으니.
다만, 그래도 하와이 백인이 다른 인종들과 차이가 나는 건, 아무래도 백인 집안 특유의 가정교육,
예를 들면 아주 selfish하다는 점, 고등학교 졸업하면 용돈을 안준다는 점 등의 특징이 남아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일본계 한국계 사람들은 백인 별로 안좋아한다. 너무 selfish해서.
뭐,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하와이 백인들은 나 같은 동양인 유학생이 다가가기엔 본토보단
부담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다.
흑인. 흑인 친구가 없지만, 본인이 겪은 흑인은 나쁜 기억 밖에 없어서 좋은 얘기는 못하겠다. 친구 왈,
얘네들은 어느나라를 가나 위험한 종족이다. 하와이는 흑인애들 보기가 쉽진 않은데 그 이유가
처음 하와이 오면 동남아 애들부터가 까맣다보니 누가 흑인이고 누가 아시아인인지 구분이 잘 안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흑인들도 완전 검은 흑인도 있고 덜 검은 사람도 있고 다양하다.
얘네들은 기본적인 성격이 매우 순진/순수하단다. 그리고 여자를 아주아주 밝힌다. 대부분 착하지만
성격이 한 번 틀어지면 원수 같이 되어버리고, 우발적인 범행이 심하다. 충동조절이 안된단 얘기다.
그래서, 자신있게 얘기한다. 얘네들은 위험하다. 인터넷 상에서 차마 얘기할 수 없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고, 많이 봤다. 내 경험에 근거하기 때문에 자신있게 얘기한다. 특히 여성분들에게 부탁한다.
되도록이면 흑인들하고는 가까이 지내지 마라.
한국인에 대해서 얘기해보자.
하와이 내의 한국인 비율은 아주 적다. 그런데 실제 하와이에서 살아보면 많다고 생각이 드는데,
하와이가 워낙 좁다보니 알만한 사람들 다 알고지내서 그런 것도 없진 않다. 좁긴 좁다.
한국인의 특징은, 교육열이 워낙 높다보니 유명 사립고등학교에 한국인이 아주 많단다. 그 외에도
일본인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많고 최근엔 드라마로 인해 한국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다. 그로인해 유럽이나 호주처럼 현대, LG 등을 일본회사로 알고있는 사람들이 아예 없다.
하와이 사람들은 한국에 대해서 비교적 정확히, 보다 많이 알고있는 편이다.
하와이 한인양로원은, 이승만 초대대통령이 직접 세우신 양로원인데 이러한 몇가지가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는 부분이긴 하지만, 전체적인 하와이 내의 영향력으로 보면 한국은 아주
적은 편이다. 한국인에 대해서는 특별히 얘기할만한 게 별로 없다.
좀 특이한 게 있다면, 여기 하와이에 Korean BBQ라는 음식이 있다. 아주아주 유명하고, 아주아주
대중적인 음식이고, 관광객들에게도 아주 유명한 음식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30년간 살다온 본인,
하와이에서 처음 먹어봤다.
<왼쪽은 Spicy pork, 일명 매운돼지불고기, 매우 저렴하다. $6.50. 오른쪽은 육개장 $6.50>
BBQ 갈비, 치킨 등의 메뉴가 있는데 맛있다. 그러나 오래 살면 질린다. 나중엔 쳐다도 안본다.
이런, 한국에서는 듣도보도 못한 음식들이 여기 하와이에만 존재하기도 한다.
밑전이라는 한국음식이 있는데, 다들 들어본 적 있으신가? Meat전이다. 즉, 고기전.
소고기를 전으로 만든, 본인은 명절에나 먹어볼만한 음식인데 여기서는 밑전이라는 이름으로
아주 잘팔리는 음식이다. 역시, 본인 하와이에서 처음 봤다. 뭐, 먹어보기야 고기전은 한국에서도
많이 먹어봤으니.
한국인은, 대체로 영어를 잘 못해서 한국인들끼리만 어울리는 편이다. 한국식당에도 손님 대부분이
한국인이고, 한국택시도 대부분 한국인이 이용한다.
Pf Cheng이라고 하는 유명한 중국음식점이 있다. 매우 깔끔하고 고급스러우며 맛있다.
손님들이 바글바글하다. 특히 대부분의 손님이 백인이다. 물론 백인들, 중국요리 좋아한다는 건
워낙 유명한 사실이니깐 그렇다치지만, 이에 비해 한국음식점은 아주 초라하다.
누구한테 들은 얘긴데, 한국음식이 반찬 때문에 마진이 많이 안남는다는 소릴 들었다. 그러고보면
다른 나라 음식들은 반찬이란 게 없고 그나마 반찬이 있는 일본음식은 따로 돈주고 주문해야하니
손해보는 장사가 아닌거다. 가끔, 한국식당도 고급스럽게 하면 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Ala Moana Shopping Center내 Ruby Tuesday 음식들. 상단은 치킨스테이크, 하단은 새우파스타>
중국애들 얘기해보자.
하와이엔, 내 생각이지만, 대만애들이 의외로 많이 보이는 편이다. 홍콩쪽도 좀 있지만.
한국사람들, 살면서 대만애들 보기 힘들지 않나? 그런 점에서 대만애들 보면 대만이란 나라가
있었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된다.
얘네 중국애들 재밌는 게 하나 있다. 중국어 할 줄 아냐고 하면 북경어랑 광동어를 쓸 줄 안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우리가 봤을 땐 그거나 그거나 마찬가지 아닌가?
물론, 중국에서 5년 산 내 동생 말에 의하면, 북경어랑 광동어랑은 거의 말이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
울나라의 사투리 수준이 아니라 거의 다른 나라 언어 수준이란다. 그래도 우리 한국사람 뿐만 아니라
여기 로컬애들도 하는 말이, 그거나 그거나 똑같은 거 아니야 하고 생각한다.
전 세계 어딜가도 하나씩 꼭 있는 게 차이나 타운이다. 그것도 꼭 다운타운 옆에 있다.
하와이의 다운타운은 일종의 관광명소인데,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차이나타운을 관광 중인 사람들>
1. 아침에 시장이 열리는데, 값이 매우 싸다. Made in China가 아니지만 그래도 차이나타운은 늘
값이 싸다. 아주 많은 상점과 아주 많은 사람들이 아침과 낮에 북적인다. 아주 활기차다.
수많은 식당들이 모여있기도 하다.
<매우 활기찬 아침시간의 차이나타운>
2. 오후 5시 혹은 어두워지면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다. 상점문도 다 닫는다.
다운타운 옆이라 아무래도 회사원들 퇴근하면 발길 끊기는 건 당연하겠지만, 그러다보니 동네가
조용해지고, 조용하다보니 마약하는 애들, 정신나간 애들 모여든다. 그래서 아주 위험하다.
하와이 오면 밤에 절대 돌아다니지 말아야할 지역 1순위로 꼽히는 동네다. 그런데 요즘, 이 동네
워낙 위험하다고 소문나다보니 경찰순찰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다고는 하다.
본인은, 친구들이랑 여러 명 모여서 두어번 가봤다. 거길 가볼려고 한 건 아니고, 어딜 가다가
지름길로 가기 위해서 거쳐가긴 했다. 그다지 위험하지도 않았고 위험한 사람들도 없었다.
<저 아저씨, 내가 사진찍기 전까지만 해도 한 5분 동안 가만히 있었다. 신기해서 찍었는데 바로 움직였다>
3. 이정표가 중국어로 적혀있다. 물론, L.A의 한인타운 가면 거기도 이정표가 한국어로 적혀있다고
들었다. 어쨌든 나름대로는 관광할만하다.
<차이나타운의 중국어 이정표>
중국애들도 술집 다니는 애들이 참 많다. 유학생인지 뭔지는 잘 모르지만 암튼 많다.
한 가지, 중국애들 영어 하는 거 들어보면 아주 웃긴데, 식당에서 중국 웨이츄레스 아줌마 이런다.
"원 돌라 투 돌라" 무슨 말일까? One dallar, two dollar라는 말이다. 극강의 발음을 구사하지만
그래도 창피해하는 거 없이 할 말 다 한다. 물론, 못알아듣는다.
베트남 애들도 하와이 산다. 것두 꽤 많다.
언제부터인가 베트남 쌀국수가 아주 유행이 되기 시작했는데, 베트남 쌀국수는 정말 최고의 메뉴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본인 역시 중독 수준이다. 한국에서는 안먹어봐서 모르는데, 한국에서 먹어본
애들 말로는, 한국에서 파는 것과는 비교자체를 안한다. 베트남 현지에서 파는 거랑 비교하거나
아니면 본토에서 파는 것과 비교한다. 그만큼 한국에서 파는 쌀국수는 진짜 쌀국수가 아닌거다.
친구가 하는 말이, 베트남 애들, 특히 베트남 갱들은 조심해야한단다. 얘네들, 인생을 사는 목표가
없는 듯 좀 티격태격하면 아예 칼 들고 죽인다고 한다. 그래서 아주 조심해야한단다.
작년 유학초기에, 베트남에서 이민 온 여자아이 하나가 울 반에 있었는데, 아주 착하고 순수했다.
뭐, 베트남 애들이 다 나쁜 건 아니겠지만 어쨌든 막가는 애들이라고 한다.
자. 여기까지는 그냥 맛배기였고, 이제부터 본론으로 들어간다.
마이크로네시안과 사모안들에 관해서다.
사모안은, 기본적으로 피부가 흰편이다. 남태평양에 있는 섬임에도 불구하고 피부가 하얗다.
백인이란 얘기는 아니다. 마이크로네시안과 비교하면 정말 흰 편이다.
참고로 유명한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영화배우인 더락이 사모안이다.
<그래도 더락은 잘생기기라고 하지 않았는가>
마이크로네시안은, 한 눈에 척 봐도 마이크로네시안이라는 것이 티가 난다.
엄청나게 뚱뚱한 몸매, 엄청나게 큰 주먹코, 까무잡잡하고 더럽고 지저분한 피부,
기름이 떡진 머리결, 여자애들도 더러운 흰티를 입고 맨발로 돌아다니며, 여자애들도 한 손에는
무수비를 들고 먹으면서 다닌다.
<전형적인 마이크로네시안 여자>
김으로 말아놓은 하와이 특유의 음식이다. 단어 때문에 일본꺼라는 말도 있다)
<본인 뿐만 아니라 하와이 사는 사람들은 매우 애용하는 간식이다. 이거 하나먹으면 매우 든든하다. $1.50 정도>
또한 머리가 아주아주 나쁘다. 본인, 핸드폰 가게에서 알바하는데 요금표 죽어라 설명해도
얘네들 제대로 이해하는 애들 하나도 못봤다.
충격적인가? 너무 나쁘게만 써서?
솔직히 본인, 그들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다. 나쁘게 생각지도 않고 좋게 생각지도 않은,
그냥 유학생인 본인입장에선 여기 사는 사람들일 뿐이다. 신분상 나보다 더 위인...
그렇다면, 얘네들은 어떻게 미국에서 합법적인 신분으로 살아갈까?
미국이 옛날 핵폭탄 실험할 때 마이크로네시아 주변에서 많이 했단다. 그러다보니 얘네들
출산하면서 기형아니 뭐니하는 문제가 많이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 정부가 보상차원에서
social security number를 주기로 했다는데, 소셜넘버를 준다는 의미는 곧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라는 얘기다. 그래서 일단 가장 가까운 하와이로 많이 온다고 한다.
아메리칸 사모안은, 옛날 1900년대쯤에 미국령으로 편입된 섬이다.
<역시 전형적인 마이크로네시안. 그러나 이분은 날씬하다. 대부분은 거구라는 사실>
마이크로네시안은, 일단 기본적으로 미개한 종족이다. 지금 내가 얘네들 폄하하는 게 아니라,
지난학기 Hawaiian Study 과목 수강할 때 하와이안 유래에 대해 공부하면서 알게된 건데
옛날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사실 미개하다고 한다. 사실 그들에 대해서 레포트 써서낼 때
savage라는 단어를 썼는데, half-hawaiian인 강사가 좀 기분나빠했었다. 뭐 어쨌든 그래도 좋은
말로 돌리더라도 걔네들은 미개한 애들이다. 아직도 옷 안입고 배타고 노저으면서 물고기잡고
부락을 이루면서 사는 애들이다. 관광지로 개발된 곳 제외하고 말이다.
그러면 얘네들이 대체 무슨 짓을 하길래 내가 이렇게 안좋게 쓸까? 미개하면 순진하지 않을까?
1.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없다.
친구 중 한 명이 이런 얘길 해줬다. 본인이 고등학생 때 남자애 하나랑 여자애 하나가 화장실에서
s*x를 하다 걸렸는데, 남매지간이었단다. 어느 친구 하나는, 이 세상에서 마이크로네시안은
싸그리 사라져야할 쓰레기 종족이라고 극도의 불쾌감과 혐오감을 표시하는데 이런 종류의 사건
외에도 얘네들은 문제를 아주 많이 일으킨다고 한다.
위에 언급했듯, 하와이는 일본인이 아주 많다. 일본/한국인의 특징이라면 바로 높은 교육열을
꼽을 수 있겠다. 그렇다면 하와이의 고등학교 졸업율은 백인/흑인/스패니쉬 사는 지역보다는
높아야한다. 하지만 하와이의 고등학교 졸업율은 미국 내에서도 최하위를 달린다고 한다. 바로
요 마이크로네시안과 사모안애들이 졸업율 다 깎아먹는다고 한다.
아메리칸 사모안은 미개까지는 아니다. 하지만 얘네들은 아주 불량하고 당근 공부에는 아예 관심이
없다. 하와이에서 강력범죄는 사모안 애들이 많이 일으킨다.
문제는, 부모들부터가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안잡혀있는데, 하와이에서 돌아다니다보면
한 가족 - 할머니 혹은 할아버지, 아빠 엄마, 딸, 아들 등등- 이 무리를 지어서 다니는 모습을 가끔
보게 되는데, 얘네들이 대부분 마이크로네시안이다. 잘 살펴보면 애들 신발을 안신고 있다.
그리고 엄마같이 보이는 사람도 더러운 티셔츠를 입고 세수도 며칠 안한듯한 얼굴에 매우 뚱뚱하고
한 손에는 먹을 걸 달고다닌다. 부모가 이러니 아이들은 오죽할까.
사실 뚱뚱한 것에 대해서는 나도 들은 얘기지만, 마이크로네시안은 여자들이 뚱뚱해야 예쁘다고
생각한단다. 즉, 미의 기준이 뚱뚱함이란다. 그래서 많이 먹고 몸집을 많이 불리는데, 참 궁금한 건
하와이 와서 살면서 예쁘고 날씬한 애들 많이 보다보면 자연스레 미의 기준이 바뀌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하지만, 마이크로네시안은 100이면 90명은 뚱뚱하다. 통통이 아니다. 뚱뚱이다.
<대부분은 가운데 계신 분처럼 생겼다>
2. 교육에 대한 개념이 없다보니 삶의 목표 등이 없어 사고를 많이 친다.
공부를 안하는데 좋은데 취직할 리가 있을까? 거의 정부에서 나오는 보조금 받고 살면서 막노동이나
하고 산다. 그런데, 하와이 살면 당근 마이크로네시아 살 때보다 좋은 거 더 많이 보게 된다. 그러면
당근 욕심이 나겠지.
하와이가 좀도둑이 아주 많은 동네로 유명하다. 자전거 밖에 세워두면 몇 시간에 안에 바퀴, 안장이
없어지는 건 기본 상식 중 하나로 통한다. 스쿠터? 이것도 예외가 아니다. 마이크로네시안이랑
사모안 애들 몸집이 크고 힘이 좋다보니 낮은 기둥 같은데 묶어두면 오토바이를 아예 통째로 들어올려서
훔쳐간다. 그래서 내가 스쿠터 같은 걸 사지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올해 초에 노래방에서 알바할 때 사모안애들 셋이서 들어왔는데, 말하는 게 욕으로 시작해서 욕으로
끝난다. 알고보니 아주 불량스러운 애들로 소문이 난 애들이라, security guard 불러서 내보냈다.
사건사고 중 50% 이상은 얘네들이 저지른다.
3. 주변환경 및 자녀교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애들 학교도 안보내고, 애들도 학교에 안가니 10살 전후의 아이들 집 근처에서 뛰어논다. 그러면
주위에 사는 애들, 걔네들 보고 어떻게 생각할까? 같이 놀고싶지 않을까? 아이들만 노는 게 아니다.
어른들도 저녁시간만 되면 어찌나 시끄럽게 떠들고 노는지 같은 건물 사는 사람들은 아마 당장 이사
나가고 싶은 생각이 들거다. 키 180정도 되는 거구의 남자들이 좁은 집에 여러 명 모여서 음악 크게
틀고 시끄럽게 떠들면서 놀면, 당신은 그 사람들한테 가서 조용히 해달라고 말할 용기가 있는가?
그래서 얘네들 사는 건물/동네는 자연스레 얘네들만의 동네가 되어버린다.
<하와이도 이런데가 있다. 이런데 살고싶을까? 마이크로네시안 사는덴 아니지만 다운타운의 차이나타운>
안좋은 얘기만 쓰긴 했는데, 얘네들로 인해서 좋은 점도 몇가지 있다.
1. 울 와이프, 모 식당에서 웨이츄레스로 일하는데 얘네들 아니면 dish washer할 사람이 없단다.
박봉에 힘든 일 하는 애들이 얘네들 밖에 없어서, 얘네들이라도 없으면 dish washer 사람 구하기
참 힘들다고 한다. 그런데도 재밌는 건, 가끔 일도 땡땡이 치고 안나오는데다, 어찌저찌해서 한 달
채워서 월급 받으면 다음 날 안나온단다. 돈 쓰러 다녀야해서. 특히, 월급을 아침에 주면 절대 안된다.
아침에 월급받고나면 사라진다. 그래서 월급을 반드시 일 끝나고 줘야한다.
2. 간혹 커뮤니티 칼리지를 다니는 애들이 몇 명 있는데, 대부분은 뭔소린지 하나도 모르면서 멍하니
앉아있는 애들이 많거나, 개중에 좀 똑똑한 애들은 수업은 따라간다. 그런데 대부분 애들이 공부를
잘 못하기 때문에, 나같은 유학생이 성적을 잘 받을 수 있게끔 해주는 일종의 서포터가 되기도 한다.
이해가 되시는가? 공부를 못하는 애들이 잘하는 애들의 서포터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예를 들어, 경제학 같은 과목은 사실 마이크로네시안이 공부하기 어렵다. 하지만 경제학이 뭔지는
잘 모르니깐 수업을 등록하게 되고, 수업을 듣다가 어려우면 drop을 하게될텐데 이런 애들이 많아서
전체적인 drop rate이 높아지거나 평균성적이 떨어지게 되면, 교수 입장으로선 난감할 수도 있을테고
혹은 본인의 수업이 너무 어렵나 하는 생각에 benefit을 주게 되어있다. 이러다보면 공부 착실히 잘하는
사람들은 B 받을거 A를 받을 수도 있다는 거다. 이래서, 내가 봤을 때는 Kapiolani Community College는
미국에서 가장 다니기 쉬운 커뮤니티 칼리지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내가 봐도 우리학교는 참 점수
잘주는 편이다.
이상 인종에 대해 적어봤다.
하와이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들이, Korea branding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한다고 한다. 일본문화,
중국문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문화는 한류, 드라마, 삼성, LG, 현대 외엔 특별히 내세울 게 없다는
점과, 내세워도 늘상 되풀이되는 반복적인 것만 보여준다는 거다.
본인, 아무래도 하와이 살다보니 다른나라서 유학하시는 분들보다는 한국인에 대한 더 나은 인식으로
살고있다는 점에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한국인에 대한 인식이 다른 나라보다는 좀 낫다고는 해도, 여전히 한국은 미국인들에게
성형, 핸드폰, 현대자동차, 드라마, 북한 이외엔 특별히 생각나는 게 없는 관심 밖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유학생이지만 뭔가 국가인식의 재고를 위해 노력해야하지 않나하는 생각도 해본다.
인종차별적인 내용 때문에 이 글이 혐오스러우신가? 극히 일부에서 생기는 문제를 너무 일반화시킨다고 생각하시는가? 하와이 안살아보신 분은 그럴 수도 있고,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자신있게 얘기하는데, 이 글이 혐오스러우신 분, 하와이 와서 살아보시라.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마이크로네시안 모여사는 곳으로 이사 안갈 거다. 절대로 안간다. 그들이 옆집에 사는 것만으로도 매일매일 스트레스 받을 것이고, 하와이 사시는 분들이 이 글을 읽고 별도의 리플을 달지 않는 것은 충분히 이해를 하기 때문에라고 본다.
세계의 황당한 법 중에서, 하와이에서는 새에게 먹이를 주면 불법이라는 게 황당한 법이라는 걸 봤는데, 하와이 사시는 분들에게는 전혀 황당하지 않다. 하루하루 상당히 스트레스 받는 것 중 하나인데, 하와이에서 안살아보신 분들은 모른다. 이 글을 쓴 게 아주 오래 전이라, 약간은 표현이 거칠거나 다소 불쾌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다. 이해 및 양해 부탁드린다.
솔직히 말해, 정말 죽을 것 같았다.
이번 세션에 수강한 과목은 총 2개.
Hawaiian Study 107 - Writing Intensive,
Managerial Accounting 202
하와이언 스터디는, 비록 Writing Intensive이긴 하나, 강사의 조금은 성의없고 무책임한
수업진행으로 인해 매우 편하게 수업을 들었다. 물론 International들은 A 받기 힘들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Writing Intensive에서 international들은 B만 받아도 만족하지 않나?
아직 성적이 나오진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내 주위 애들은 다들 그랬다. Writing Intensive는
B만 받아도 만족이라고.
문제는 Accounting. 내 전공은 Accounting이다. 전공과목이므로 솔직히 말해, 조금 신경써서
공부하고 싶었고 되도록이면 모든 것을 다 알고싶었다. 그래야 주립대 넘어가서도 좋은 성적을
유지할 수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에.
지난 학기 Accounting 201은, 조그만 퀴즈 하나를 실수하는 바람에 성적이 A에서 C로 쭈욱
떨어져버렸다. 이 교수 수업스탈이 그렇다. 퀴즈던 시험이던 하나만 망쳐도 성적에 매우 큰
타격을 받는다. 어찌됐든 이거 B로 올리는데 고생 많이 했다.
하지만 지난 번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그리고 내 전직인 "은행원"의 특기를 살려서
이번 Accounting 202는 절대 실수하지 않겠노라 다짐을 했고, 2번째 시험에서 울반 3등으로
올라섰다. 프라이버시로 인해 누구 성적이 어떤지는 공개가 안되지만 어쨌든 난 3등이었다.
시험을 약 3번 정도 더 치르면서 4등으로 밀려나긴 했지만 어쨌든 A였고, 순위권이다.
총 6주의 코스인 이번 여름학기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1시간 40분짜리 수업이
일주일에 4번 있었고, 시험은 매주 1번 꼴로 있었으며 결국 난 1주일에 한 번은 반드시
밤을 새서 공부를 해야만 했다. 게다가 엄청난 양의 숙제로 인해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거의
비몽사몽으로 생활했으며, 아침 8시에 시작하는 Accounting수업이 끝나면 9시 50분에 시작하는
하와이언 스터디는 가서 꾸벅꾸벅 졸기 바빴다.
다만, 이번에 팀 프로젝트라는 걸 했는데 우리팀 리더는 리더쉽이 개판이었다. 아니, 성적엔
그닥 관심이 없어보였다. 아직 성적이 나오진 않았지만, 프로젝트 성적은 바닥을 기는 수준
이었고, 만약 이대로 성적이 반영되면 난 팀프로젝트 때문에 성적이 또 다시 B로 떨어지는
어이없는 사태가 생길지도 모른다. 이거 때문에 B받으면 교수한테 메일 보낼거다.
이번에 반드시 A를 받기 위해 시험 전날엔 비록 벼락치기였지만 어쨌든 밤을 새면서 공부했고
숙제하느라 거의 하루평균 2-3시간 정도 밖에 잠을 못자는 일이 다반사였다. 1주일에 한 번씩은
에너지 드링크를 달고 밤을 지새운 거다... 게다가 30대의 나이에, 3일에 한 번꼴로 밤을 새니
이젠 체력이 딸린다는 게 느껴진다. 덧붙이자면 나는 1주일에 5일을 알바를 하면서 공부를
했다.월화목금토 매일 오후 1시부터 8시까지. 아마 알바 안하는 애들은 나만큼 힘들진 않았을
거다... 어쩌면 그런대로 할만했을런지도...
울 학교에서 아주 힘들다고 소문난 과목이 몇 개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구동성으로
이 Accounting 수업이 가장 힘들었단다. 그래. 제일 힘든 수업을 들어봤으니 나머지도
잘할 수 있겠지.
작년에 Georgia로 편입한 한 동생의 학교얘길 들었는데, 프레젠테이션을 30분 동안
해야한단다. 프레젠테이션 30분, 상상도 하기싫다. 한국말로 해도 힘든 걸 영어로 하면
그야말로 30분치의 대사를 외워야한다는 얘기인데, 프레젠테이션이 얼마나 긴장되고 떨리는
수업인지는 미국에서 수업을 들어본 사람만 이해하리라 본다. 프레젠테이션(Speech)은
미국애들도 힘들어하는 수업 중 하나이다. 그 동생은 프레젠테이션이 끝나고 탈진할 뻔 했단다.
그나마도 반 애들이 질문을 안했다니 망정이지, 질문까지 했으면 아마 진짜로 탈진했을지도
모른다.
최근엔, Ivy League를 나와도 회화를 못하는 유학생이 많단다. 유학오기 전엔, 나 역시 그들을
한심하게 생각했었다. 솔직히 말해서다. 미국에 유학까지 가서 몇 년씩 사는데 왜 말을 못하나
했다. 그런데 이제는, 미국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것만으로도 대단하다못해 존경스럽다.
특히 아이비리그를 졸업한 사람이라면 회화를 하고 못하고는 상관이 없다. 졸업한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
이제 약 10일의 휴식기간이 끝나면 가을학기가 시작된다. 지금 이러한 생활패턴으로 10일 동안
어느정도 공부하는 습관을 유지하면 다음학기도 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은 들지만, 반대로
10일 동안 이렇게 들여놓은 습관이 날아갈까봐 걱정도 된다. 일단 피곤하니 쉬긴 쉬어야겠고...
결론은... 하와이 섬나라에 박힌 대학교도 아주 힘들다~!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분명히
"퍼가실 때는 본 블로그 주소인 출처를 반드시 퍼가신 곳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퍼온 글이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한 글임을 밝혀둡니다."
작성의 편의상 반말로 작성했습니다. 또한 내용이 깁니다. 먼저, 본인은 결코 금융, 경제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며 새마을금고에서 3년간 경력을 쌓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컴퓨터를 전공하고, 지금은 하와이 주정부에서 근무하고있는 사람이며 100% 제 경험에 의해 본 블로그를 작성했습니다.
또한 본 글은, 새마을금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계신 분 혹은 새마을금고에 대해 궁금하시거나 차후 새마을금고에서 일하고 싶으신 분들을 대상으로 작성하려고 했습니다. 금고관계자가 이 글을 보시고, 문제점이 될만한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간접적인 설명으로, 직접 설명을 피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강조합니다. 이 글은 2008년도에 작성한 글입니다.
----------------------------------------------------------------------------------------------------
하와이의 실체라는 글을 쓰다보니 "실체"라는 단어에 맛이 들렸는갑다. 실체라고 해서, 뭐 거창한 건 아니고 또 그렇다고 뭔가를 폭로하려는 건 아니다.
본인은 새마을금고에서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대략 3년간 정식직원으로 근무를 했고, 나름대로는 내가 입사했을 시기부터 지금까지의 모든 신규직원들 중, 가장 뛰어난 업무수행능력을 보였다고 자타가 인정했다.
(들리는 소문이지만, 상무님과 이사장님은 나를 가장 좋아했다고 했다)
유학온지 3년이 지났을 때에도, 빨리 복귀하라고... 안돌아올거냐는 얘기까지 들었다.
나에 대한 소개를 해보자.
밑에 하와이의 실체라는 글에도 썼듯, 난 현재 미국 하와이에서 유학 중인 늦깍이 유학생이다. 이글을 작성하는 2008년 현재 나이는 대략 30대 초중반이고, 결혼은 했지만 유학 중이라서 아직 아이는 없다 (애 낳는데 돈이 엄청나게 든다. 특히 나같은 가난한 유학생에게는 꿈 같은 액수다). 이 나이에 유학오면 대부분 석사과정을 밟으러 오시는데, 부끄럽게도 난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다. 지방대 4년제 중퇴다. 어쨌됐건 중퇴는, 한국사회에선 고졸이니까, 그래. 난 고졸이다. 이 고졸딱지가 너무나도 한스러워 동생한테 자극받아 무작정 유학을 왔다.
난 원래 컴퓨터를 만지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 옛날 PC통신 시절, 천리안 리눅스 동호회에서 부시삽을 했으며 현재도 인천 리눅스 동호회 운영진이며 한국 우분투 포럼 공식 Contactor(가 될 예정)이다. 또한 우분투 한국 로코팀 IRC 채널의 방장 중 한명이기도 하다. 2003년경, 친구와 함께 온라인 게임분야 관련 특허를 출원한 적이 있으며 (특허가 나진 않았다), 지금도 여전히 컴퓨터를 사랑한다. 근데 금융계통으로 공부를 하러 유학을 온 걸 보면 컴퓨터는 취미, 금융은 내 업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난 앞으로도 금융계통에 진출하고 싶다.
대략 2003,4년도쯤, 대학등록금이 없어서 어차피 학교는 복학 못하고 친구랑 사업한답시고 빌라 반지하에서 특허 하나 출원해놓고 뭔가를 하고있을 때, 수입은 없고 돈은 계속 써야하고 동생은 유학가있고 어머니는 직업이 없으시고해서, 결국은 취업을 해야했다. 어느날 어머니가 서울에 있는 모 새마을금고에서 신입사원을 뽑는다는 광고를 봤는데 함 가봐라 하신다. 이력서를 아주 거창하게 썼다. 이게 내 특기다. 고졸학력을 최대한 덮기 위해 내가 가진 경력을 최대한 포장했다. 과장하진 않았다. 잘 포장만 했을 뿐이다.
수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최종면접에 합격했다. 최종면접엔 6명이 면접을 봤고 단 한 명을 뽑는 자리였다. 그때 당시 이사장님, 전무님, 부장님이 면접관으로 참여했고 아주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난해하지 않은, 그리고 엉뚱하지 않은 약간은 상식적인 수준의 질문이 이어졌다.
며칠 후 합격통보를 받았고,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한 명을 더 뽑았더랜다. 이유는 새로 뽑은 직원이 그만 둘까봐 예비로 한 명 더 뽑았단다. 그순간 직원들이 수시로 그만두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1. 새마을금고의 구조
먼저, 새마을금고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새마을금고의 역사부터 알아야겠지만, 이건 각자 웹서핑을 통해서 알아보시고 중요한 건 "서민을 위한 금융기관"이라는 점이다. 새마을금고에선 제 1 금융권에 비하면 서민들도 나름대로 VIP 대접을 받을 수 있다. 물론 다 그렇진 않다. 밑에서 따로 설명한다.
새마을금고는, 각각의 지점이 서로 다른 회사다. 각각 서로다른 법인명과 법인번호를 갖고있으며 따라서 연봉도 다 다른데다 심지어 가까운 곳에 위치한 다른 새마을금고는 사실상 경쟁상대에 가깝다. 또한, 서로 다른 회사이기 때문에 한 지점으로 입사하게 되면 절대 다른 지점으로 발령받는 인사이동은 절대 불가능하다. 마치 국민은행 직원이 우리은행 가서 잠시 몇 달 일하고 오는 것을 상상하시면 된다.
내가 다녔던 곳은 1개의 본점과 1개의 지점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본점엔 이사장, 부장, 과장, 일반사원 5명, 지점엔 전무, 과장, 일반사원 3명이 근무하고 있었다. 당연한 말이지만 본점에서 모든 업무 및 제반사항을 조정한다. 하지만 모든 경영 자체를 독립적으로 하는 건 아니다. 새마을금고 연합회 라는 곳에서 경영 및 감독에 대한 통제 및 지시를 받고 때로는 부실한 새마을금고 (이하 금고라 함)의 합병 및 파산을 명하기도 한다.
2. 새마을금고의 설립
주식회사법을 조금이라도 아시는 분은 이해를 하실텐데, 주식회사가 어떻게 설립되는가? 보통 작은 회사의 경우는 형식적으로나마 식구들 동원해서 주주로 세워놓고 회사를 세운다. 그러면 금고는 어떻게 세울까?
금고는, 주민들이 모여서 새마을금고를 세우기 위한 자금을 마련한다. 이를 "출자금"이라고 한다. 일종의 "주식"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출자인 몇명 이상, 출자금 얼마 이상 이런 식으로 정해져있으며 이를 토대로 금고가 세워진다. 나머지 금융상품에 대한 건 오로지 연합회에서 만든 상품만 팔 수 있으며, 새마을금고 연합회에서 승인한 금고가 아닌 기관에서 "새마을금고"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건 불법이다.
그런데, 위에 설명한대로해도 새마을금고 설립이 쉽진 않다. 말 그대로 아무나 세울 순 없다. 여러 정부기관에서 허가가 떨어져야하는데 현재 포화상태인 새마을금고 지점 갯수를 봤을 때 신규 새마을금고의 설립은 불가능하다고 보겠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전국에서 지점에 가장 많은 금융기관은 농협이고 다음은 국민은행, 아니면 새마을금고다. 나름 전국 최대 규모다. 내가 다닐 때만 해도 전국 1,500개 정도의 지점이 있다고 했고, 실제로 동네마다 하나씩은 다 있다.
3. 새마을금고의 조직
조직도는 이사장, 부이사장, 이사, 감사의 이사진과, 전무, 상무, 부장, 과장, 대리, 사원 등의 경영진과 직원이 있다. 보통 금고별로 중간에 특이한 직책을 만들기도 하는데, 어디까지나 위에 열거된 직책이 표준이라고 볼 수 있겠다. (현재 금고를 오래 다니고 계시는 분들이 보시면 조금은 고깝게 보이실 수도 있겠다. 금고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을 대상으로 썼으니 양해를 부탁한다).
신입으로 입사하면 사원 - 6급이 된다. 금고법에 의하면 6급 사원에서 5급 대리로 진급하기 위해서 최소 4년의 경력이 있어야만 대리로 진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진급을 시키고 안시키고는 각 금고 경영진의 뜻에 달려있다.
5급 대리에서 4급 과장은 2년인가 3년인가 생각이 안난다. 4급 과장까지는 누구나 다 될 수 있는데, 3급 부장이 되려면 "실무책임자 시험"이라는 시험을 치뤄야하고, 여기에 합격을 해야만 3급 부장이 될 수 있다.
실무책임자 시험은 금고에서 단 한 명만 볼 수 있는데, 소위 "후계자"를 지목하게 되는 것이라, 과장들간 경쟁이 아주 피터진다. 보이지 않는 경쟁이 아래 직원들한테 피해가 가게 되서 참 곤혹스럽다. 더군다나, 5급, 6급 직원이 실무책임자 시험을 보고싶다고해도 맘대로 볼 수 없다. 금고에서 지목하는 단 한 명만 볼 수 있는 거다. 솔직히 난 여기서 희망을 잃기도 했다.
부장부터 상무 전무는 따논 당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다. 어차피 이사진들이야 동네 아저씨들 모아놓은 것이고 (따로 설명한다), 이사장이야 보통 실무책임자의 의견을 매우 무게있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실무 책임자가 아닌가), 그리고 또한 부장 위로 전,상무가 현재 아무도 없다면 나이 40살 이전에 상무도 될 수 있다. 실제로도 그런 경우를 봤다. 그분은 얼굴도 동안이라, 얼핏보면 30대 초반으로 밖에 안보인다. 그런데, 직책이 상무다.
또 다음으로 피터지는 경쟁의 계급은 6급에서 5급이다.
일단은 6급과 5급은 월급부터가 상당히 차이가 많이 나고, 진급하기 위한 조건이 최소경력 4년 이상을 요구하는데다 그나마도 경영진과 이사진에서 진급을 시켜줘야하니 보통 금고에서 "대리" 직책은 "중견직"이라고 한다. 실제로도 연합회에서 문서가 내려오면 중견직이라는 표현을 쓸 때 대리를 포함시킨다. 어디 조그만 회사가면 아무나 다 대리, 과장 시켜주는데, 금고는 대리만 달아도 왠만한 금고인들끼리 중견직책으로 인정해준다.
사실상, 대리만 달면 과장 올라가는 건 쉽기 때문에 (보통 경쟁자가 없다. 대리가 되기 전에 힘들어서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대리만 달면 그 이후엔 진급에 신경쓰지 않고, 실무책임자가 되기 위한 표면적인 실적에 공을 많이 들인다. 사실 대리쯤 되면 업무는 왠만하면 다 아는데다, 업무능력도 출중하다.
그렇담, 이사진은 어떻게 선출될까?
보통 금고마다 액수가 조금씩 다르긴 한데, 내가 다니던 금고의 경우 출자금 잔액이 100만원 이상이신 분들을 "대의원"으로 선출한다. 그러면 매년 정기총회 때 이사에 대한 투표를 하게 되고 여기서 선출되면 이사가 된다. 이사는 상근이사와 비상근이사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금고가 비상근이사를 둔다. 왜냐면 상근이사는 월급을 줘야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이사가 되려면 출자금 액수는 만땅을 채워야한다 (일천만원).
일반적으로 대의원과 이사의 수는 해당 금고의 자산규모로 정하게 되는데, 이 역시 새마을금고법에 의해야한다. 내가 다니던 금고의 자산규모는 2006년 당시 450억원이었고 이사장 1, 부이사장 1, 이사 9 (비상근), 감사 2 (비상근), 대의원 약 100 여명 정도 됐었다. 위의 사항은 기밀이 아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원래 주식회사는 재무제표를 공개해야 함이 원칙이다.
그런데, 이 출자금이라는 계좌가 어떤 계좌였던가. 금고를 설립하기 위한 주주들이 내는 돈 아닌가. 따라서, 회사가 망하면 주주의 주식은 날라가는 것이고 결국 금고가 망하면 출자금은 못돌려받는다. 그래서, 부실한 금고에서의 출자금 통장은 매우 리스크가 크다. 매년 금고 수익을 출자자들에게 배당도 하기 때문에 주식하고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게 더 낫다.
이사가 되면 정기 이사회 때 안건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있다.
그리고 이사회 참석수당으로 대략 10만원 정도가 나온다. 즉, 돈을 벌려고 하는 일이 아닌 "명예직"이라고 보면 되겠다. 다만, 출자금 통장에만 돈이 많아서는 안되며, 출자금 통장에 특정 액수 이상이라는 건 필수사항이고, 그 외 예적금이 얼마 이상 있어야한다.
내가 다니던 곳의 경우는 당시 최소 1억 이상은 다들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니 돈만 좀 많이 있으면 대의원도 시켜주고 이사도 시켜주니, 서민들도 금융기관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민들을 위한 금융기관이라는 말이 나온게 아닌가 싶다. 이사진은 솔직히 조금 폄하하자면, 맨 위에 언급한대로 사실상 결국은 그냥 동네 아저씨/어르신들이고, 좋게 말하면 동네분들이다보니 그만큼 친근함이 있다. 대부분은 나이가 많으신데, 물론 퇴직하기 전에 어떤 직업을 가졌는지는 알 수 없겠지만 아마도 상당수는 이사라는 직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직업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한다.
감사는, 감사채용 공고를 따로 낸다. 일반적으로 감사는, 감사의 직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고있어야한다. 자격이라고 해서 "증"을 요구하는 건 아니고, 해당 관련 경력이 있어야함을 의미한다. 비상근직이다. 감사는 이사회 때 참여할 수 있고 정기감사 때 참여해서 감사수당을 받는다. 이 역시 10만원 내외로 책정된다. 물론 금고마다 다르다.
이사장은 이사 중에서 이사장 직책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선출한다.
부이사장은 이사와 크게 다르진 않다. 다만 이사 중에서 한 명을 선출한다는 점과, 부이사장만이 결재할 수 있는 업무가 따로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비상근 임원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사장은 몇 백억의 자산을 가진 회사를 운영할 능력이 되야한다. 어떤 곳은 능력이 안되는 사람이 선출이 되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사장은 1급의 직책을 갖고있으며 상근임원이다. 따라서 월급이 나온다. 또한 금고의 모든 업무에 관한 결정권을 갖고있으며, 인사권은 이사장 고유의 권한이다. 이래서 신규채용에 관한 비리가 많다. 누구누구 부모님이 마을금고 이사장이라던데 그래서 취직이 되네 어쩌네 하는 등등.
4. 새마을금고의 업무
그렇담, 새마을금고는 무슨 일을 할까.
큰 틀은 은행과 다를 바가 없다. 다만 외환, 채권, 주식 등의 투자상품은 취급할 수 없다. 출자금, 일반 입출금 통장, 적금, 예금, 신용대출, 담보대출, 생명보험, 화재보험 등을 취급한다.
일반적으로 이자율은 제 1 금융권보다 다소 높게 주는데, 그 이유는 생각해보나마나 고객을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다. 같은 이자면 큰 은행으로 가고싶지, 조그만데 가고싶지 않은 건 누구나 다 똑같은 심리이지 않은가. 대출도 역시 일반 시중은행보다 조금 더 비싸지만, 최근 치열한 대출경쟁 때문에 금고도 이젠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를 낮추고 있는 추세다.
먼저, 출자금 통장은 위에 설명을 많이 했으니 넘어가자. 내가 설명한 게 전부다. 두 가지 더 보충하자면, "비과세" 혜택을 받기위해선 출자금 통장을 반드시 개설해야한다. 또한,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잔액에 대한 이자(배당금)를 년초 정기총회 (약 1월 중순에서 2월 중순 사이)가 끝난 후 지급하며, 일부금액 출금은 불가능하고 비과세 예적금 통장이 있으면 해지가 불가능하다.
입출금통장은, 은행과 딱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외국으로 송금이 안되며 반대로 외국에서 들어오는 것도 불가능하다.
언젠가는 개선이 되겠지만, 현재는 안된다. 그외 인터넷 뱅킹, 체크카드 등등 적금은 정기적금이 있고 자유적금이 있는데, 이것의 차이는 다른 은행과 같다. 매월 특정일에 납입하는 적금과, 아무때나 수시로 납입을 하는 차이인데, 여기서 과세, 비과세, 세금우대 등 약간의 경제상식이 필요하다. 지금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내가 근무할 때는 비과세라는 상품이, 다른 제 1 금융권의 대형 은행들과 큰 차이를 주는 아주 중요한 요소였다. 비과세, 세금우대, 과세의 의미는 웹서핑을 해서 알아보시길 바란다.
어느 곳이나 다 그렇듯, 비중이 큰 고객에게는 무슨 날만되면 선물이니 뭐니해서 신경쓰는 회사들이 많다. 금고 역시 다를 바가 없는데, 금고는 은행과 달리 고객의 예적금 액수가 적기 때문에 예적금으로 대략 5천만원만 넘어가도 꽤 신경써서 대우해준다. 1억이 넘어가면 아마 명절마다 선물이 나갈거다. 시중 대형은행의 VIP룸과는 자격조건부터 판이하게 다르지 않은가? 내가 알기로 시중은행의 VIP 출입자격은 개인현금자산만 최하 10억 이상 있어야한다고 알고있다. 보통 20억 정도이고. 서민들을 위한 금융기관이라고 해서 서민들한테 잘해준다기보단, 규모가 규모이다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더 심각한 건, 예적금의 이자율이 높아서 시중은행으로부터 잠시 옮겨오더라도 예적금이 만기되면 다시 전부터 오래 거래하던 은행으로 돌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다만, 새마을금고의 "단골"층은 로열티가 매우 높아서 몇 십 년 이상 거래하는 고객들에 의해 운영이 된다고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데, 금고 자체가 원래 대부분 70년대 즈음해서 설립된 곳이 많고 그때부터 거래하던 분들이 지금까지 오신다. 게다가 동네 토박이다보니 금고직원들은 단골고객의 집안사정에 대해서 매우 밝다 (내가 일할 때 당시, 상무님부터가 그동네 토박이였다). 이사진부터가 동네분들 아닌가. 또한, 단골손님들에 대한 형식적인 대우가 아닌 약간은 허물없는 가족같은 분위기로 인해서 그분들은 다른 은행 안가시고 더욱 더 금고만 찾게 만드는 부분도 어느정도 있다고 본다. 사실 내가 봐도, 한 금고를 오래 거래하면 금고에서 자연스레 신경써주게 된다. 신경써준다고 해서 이자를 더 준다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VIP한테만 주는 선물들을 따로 준다거나 음료수라도 한 잔 챙겨주는 면이 일반 시중은행의 (매우 친절하지만) 형식적인 대우와는 (비록 종이 한 장 차이이지만) 조금 다른 면이 있다.
대출에 대해서 알아보자. 솔직히, 대출에 대해서는 매우 꽉 막힌 곳이라 판단된다. 시중은행은, 규모부터가 매우 거대하며 이를 운용하는 인력, 시스템, 자본 등등이 매우 막강하다. 따라서, 한 은행만 꾸준히 오랫동안 거래하면 당행의 시스템에 의해 신용대출을 해줄 수 있는지 없는지, 해줄 수 있다면 금액은 얼마까지인지의 판단이 전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름은 까먹었는데 이러한 시스템이 대략 2004년 쯤에 시중 대형은행에 구축이 되었다.
고객의 총 거래 기간, 금액, 종류, 나이, 거주지 등등 모든 정보를 종합해서 만약 자녀가 있다면, 이 자녀가 대학에 입학할 때쯤 되서 대학등록금을 대출할 수 있게끔 시스템이 미리 파악을 해서 직원한테 상기시켜줄 수 있는 시스템이 생겼는데 내가 금고에서만 일해서 좀 구식이라 그런지 몰라도 금고에서만 일했던 나에게는 매우 혁신적이었다고 생각했다. 이외에도 매우 많은 자료들에 의해서 당행 거래고객이 아니더라도 신용대출을 해줄 수 있는 시스템을 잘 구축해놨었다.
이에 반해, 금고는 금고가 가진 특수한 구조적 문제로 인해 신용대출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물론 전국의 모든 금고가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내가 알기론 대부분의 금고가 신용대출은 매우 꺼린다. 물론 은행도 신용대출은 꺼리지만 금고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시피 봐야한다.
이유인즉슨, 신용대출이란 게 말 그대로 그 사람의 신용을 보고 대출을 해준다는 의미로 해석해야하는데, 나쁘게 해석하면 안갚으면 땡이다. 물론 불체자 등등으로 등록되겠지만, 담보를 설정한 것도 아니요, 연대보증인을 세운 것도 아니니, "막말"로 안갚으면 땡인 거다. 물론 그에 따르는 법적조치는 취하게 된다. 더군다나, 은행처럼 전국적인 규모의 기관이 아닌 한 동네의 기관으로 부실채권을 스스로 책임져야하는 금고의 경우 신용대출 해줘서 회수가 안되면 금고가 그 책임을 져야하는데, 규모가 작은 금고는 어떻게 해결하겠는가? 결국 손실이 생기고, 손실은 부실로 이어지고, 부실은 합병 혹은 파산으로 이어진다. 옛날엔 공적자금이 투입되기도 했었다. 담보가 있어도 회수가 될까말까 걱정해야할 판인데, 신용대출은 오죽할까.
따라서 내가 금고에서 여신업무를 볼 때 교육받은 건, "신용대출은 해주지 마라" 였다. 어떻게든 말을 돌려서 신용대출은 안된다고 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신용이 확실한 분들에 한해서는 최대 500만원 선에서 신용대출이 나갔고, 내가 일했던 금고에 예금/적금 금액이 4-5억 정도 됐던 이사장님의 경우는 신용대출은 필요할 때마다 해드렸다. 물론 그 분은 현금자산만 해도 그 정도였으니 금고 입장에서 봤을 때 못해줄 이유가 뭔가. 게다가 신용대출은 이자도 12%였다.
금고업무의 마지막 부분이며, 현재 금고 운영상 매우 핵심적이며, 금고를 퇴직하는 신규 사원의 1등 공신이 되는 사유의 한 부분이다. 바로 "공제"다.
공제는 뭘까. 쉽게 말해 보험이다. 새마을금고가 보험회사와의 법적문제로 인해 보험이라는 단어를 쓰지 못해 만들어낸 단어인데, 2006년도쯤엔가 농협이 소송에서 이긴 뒤로, 새마을금고나 농협 같은 비보험회사들도 보험이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했다.
보험은, 손님을 보험에 가입시켜야하는 게 주 목적이다. 물론 다른 것도 많겠지만 솔직히 얘기해보자. "보험에 많이 가입시켜서 수당받는 게 목적"이다.
그게 아니면, 고객이 사고가 날까말까를 왜 염려하나. 나 살기도 바쁜 세상인데.
공제란 말 뜻은, 여럿이 힘을 모아 도와준다는 의미가 내포되어있는 단어이다. 즉, 여러 사람의 보험금을 모아 사고난 몇몇 사람을 도와준다는 좋은 취지의 새마을금고 정신에 부합되며 지역발전에 보탬이 되는 매우 좋은 제도(?)라고 볼 수 있겠다.
문제는, 보험만이 살 길이라고 외치는 금고의 실무진과 연합회 때문에, 밑에 직원들이 죽어라 보험을 팔아야하는 은행원(금고직원도 나름대로 은행원이라 생각한다. 은행원 아니면 뭔가. 증권회사 직원? 보험회사 직원?)이 되어버린 셈인데 얼마나 이게 심각하냐면, 아무리 일을 잘해도 공제 실적이 부실하면 짤린다. 경력직 사원을 뽑을 때도, 이전에 근무했던 금고에서 공제 때문에 퇴사한 직원은 자격미달이라고 공지해놓는 금고가 매우 많다.
솔직히 말하면, 새마을금고 보험은 대형 보험사의 보험보다는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일단 보험료가 저렴하고 대형 보험사에서 깨알만한 글씨로 적어놓은, 이거는 이래서 안되고 저거는 저래서 안되고하는 그런 제한사항이 많지 않기 때문이며, 은행권과의 경쟁과 마찬가지로 대형 보험사로부터 손님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 좀 더 좋은 조건의 보험상품이 많다.
특히 보상의 경우, 각 금고에서는 "어차피 공제는 연합회 사업이기 때문에, 우리돈 나가는 거 아니니깐 보상처리 잘해줘라"고 한다 (사실 이것 때문에 사고발생시 보험처리를 잘해주게 되는 원인이 된다. 계속해서 보험을 팔려면 보상처리도 잘해줘야 계속 보험을 가입하게 되기 때문). 금고에서 배우게 되는 부분인데, 사람 심리가 보험이 여러 개씩 많이 있으면 더 이상 안할 것 같아도, 보험금을 몇 번 타먹어보면 보험을 계속 들게 된다고 한다. 참 신기하다. 그래서 보험도 신상품이 나오고, 내용이 좋으면 잘 팔린다. 게다가, 농협과는 달리 보험을 팔면 수당이 많이 떨어지는데 (액수는 대외비라 공개하면 안될 것 같다. 양해 부탁드린다) 이 수당이 꽤 짭짤하다. 나는 퇴사한지 1년 6개월이 넘도록 계속 수당이 들어왔다. 그렇다고 내가 보험을 잘 팔았던 건 아니었다.
내가 다녔던 금고의 공제판매 No.1 직원은 공제수당만 한 달에 일백만원 정도 받았고, 잘 팔았던 달엔 그 이상도 받았으니 상무님 왈, "보험 잘팔면 너네들도 좋고 금고도 좋고 1석 2조가 아니냐"고 했다. 그래. 사실, 수당 받을 땐 기분은 좋다. 액수가 많을 땐 더 기분이 좋았고, 월급날짜랑 수당지급날짜가 달라서 용돈으로 쓰기도 아주 좋았다.
또 다른 문제는, 연합회에서 1년에 1-2번 정도 공제집중기간이란 걸 만들어서 각 금고별 실적으로 경쟁을 시키는데, 금고가 동네 금융기관이다보니 구로 1동, 구로 2동 이런 식으로 서로 경쟁하게 되서, 결국 실무책임자가 옆 동네 금고한테 꿀리지 않을려고 아래 직원들을 쪼아댄다는 게 문제가 되는 거다.
게다가 연합회조차도 공제만이 살 길이라고 외치는데, 직원들이 푸념하는 게 대체 우리가 보험회사인지 은행인지 모르겠다는 말을 했다. 전 직원이 업무시간에 오는 손님들 붙잡고 공제얘기만 해댔으니깐. 은행이란데가 원래 손님들 예탁금 받아다 대출해줘서 그 이자차익으로 돈을 버는데가 아니었나. 그래서 일부 단골고객들은 "금고만 오면 공제얘기하니깐 금고에 가기 싫다"는 농담도 했었지만 공제집중기간에 가면 정말 전 직원이 모든 손님들한테 전부 공제얘기를 한다. 안하면 안되니깐. 심지어 나는 방학기간 중 한국을 잠시 방문해서 금고를 들렀는데, 본점 과장님은 유학생인 나한테도 공제를 팔려고 했다.
신입사원들이야 초기엔 할만하겠지. 본인들 것부터 해서 식구들꺼, 친구꺼 등등 할데 많으니깐. 나중엔 모르는 사람 붙잡고 개척해야한다. 이거, 아주 어렵다. 특히, 단골은 아니지만 자주 오는 손님 평소에 열심히 설득해놨는데 어느 날 옆에 직원한테서설명듣고 신청서 작성하는 거 보면 뚜껑 열린다. 또한,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데 뒤에 부장님 과장님 등 "장님"들 나오셔서 내가 다 해놓은 손님 뺏어가면 역시 뚜껑 열린다. 직원들간 분위기가 좋으면 전자의 경우, 양심적으로 열심히 공들였던 직원 앞으로 해준다. 내가 다니던 곳은 그랬다. 이게 얼마나 열받는 일인지 잘 아니깐.
공제에 대한 얘기는 아마 직원들 간에 밤새서 얘기해도 다 못하는 그런 종류의, 직장을 그만 다니고 싶게 만드는 부분 중 하나이다. 너무 안좋은 얘기만 쓴 것 같은데 위에 보니깐 좋은 얘기도 조금 썼으니 그냥 넘어간다.
5. 접 대
참 재밌는 부분인데, 금고도 접대를 한다.
1년에 하루 정도를 잡아서 VIP 회원과 전 직원이 함께 놀러가는 건데, 말이 놀러가는 것이지 이건 완전 중노동이 따로 없다. 보통 은행의 VIP 회원이라면 돈이 많은 분들이고, 돈이 많은 분들은 젊은 사람이 드물다. 당연하다. 그래서 주로 노인네들이 많은데, 이분들 모시고 관광버스 대절해서 탑승하면 그때부터 마이크 붙잡고 쌩쑈를 다 해야한다. 술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침부터 분위기에 휩싸이셔서 소주를 좀 드셔야한다. 그러면 관광버스 춤 나오고 노래 부르고 난리 부르스를 추면서 직원들은 1차 세계대전이 아닌 1차 버스대전을 치뤄야한다.
목적지에 내리면, 보통 대부분은 해당 장소의 식당 등을 미리 예약해서 식사를 하는데 식사 때 술이 빠질 수 있겠는가. 게다가 식사 끝나면 뭐하겠는가. 노래방 기계 갖다놓고 춤판 벌이는 거다. 그럼 직원들은? 술이랑 안주 날라야하나? 그거만 하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옆에서 같이 춤춰야한다. 나이드신 분들 뽕짝 틀어놓고 70년대 댄스추시는데 옆에서 같이 흔들어주는 거, 안해본 사람은 모른다. 고역이다. 여직원은 어떻겠는가. 이게 한 3-4시간 동안 진행된다. 말이 3-4시간이지, 10분만 있어도 도망나오고 싶다.
게다가 이게 끝이 아니다. 짐정리 다 하고 버스 탑승하면, 술 엄청 드시고 노래 부르고 춤추시던 분들 술기운이 달아났을까? 나이드신 분들한테는 어림도 없다. 관광버스 탑승하고 집에 가는 대략 3-4시간 동안 소주를 나발을 부시고 고함 질러가며 노래 부르고 춤추신다. 식당에서는 그래도 넓은 공간이니깐 움직이기라도 편했지, 관광버스 안은 흔들리고 좁고 바닥은 술 엎질러서 미끄럽고, 안주 갖다달라면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 열심히 안주 갖다드려야하고 노래 시키면 노래 불러야되고, 술 주시면 술 먹어야되고 2차 버스대전을 치뤄야한다. 이래야만 그날 소풍이 끝난다.
금융기관 특성상, 평일에는 절대 이런 행사 계획 못한다. 그래서 휴일날 해야한다. 휴일날 이거 누가 하고싶을까? 공제판매하는 거 다음으로 싫은 게 이거였다.
다른 금고는 근무를 안해봐서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는 이랬다.
그 외엔 명절날 선물사서 손님한테 이러이러해서 선물 드리니깐 시간 나시면 오시라고 전화한다. 선물 준다는데 누가 마다할까. 다 온다. 그래서 이건 아주 껌씹기 수준이다.
6. 급여와 복리후생
위에도 설명했듯이 금고직원은 공무원처럼 급이 있다. 어떻게보면 금고직원은 거의 공무원 수준인데 천천히 살펴보자.
먼저 금고는 대부분 월급제다. 연봉제도 있단 얘기를 들어봤는데, 연합회부터도 일단은 월급제이며 호봉제다. 다만, 호봉에 의한 월급은 크지 않다. 6급으로 10년 일해봐야 5급 1호봉 쨉도 안된다.
급여는 보통 기본급 + 각종 수당의 구조는 다른 회사와는 별 차이가 없는데, 이 기본급에서 아주 큰 차이가 생긴다. (솔직히 다른 회사를 많이 안다녀봐서 잘 모르겠다. 양해 부탁한다)
내가 다녔던 곳으로 예를 든다.
난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다녔고, 2006년 연봉이 약 3천만원 정도 됐었다.
기본급은 직급수당 + 출납수당으로 이루어지는데 (물론 금고마다 차이는 있다) 내 경우 2007년 1월에, 정직원 2호봉 직급수당 90만원에 출납수당 5만원이 내 기본급이었다. 여기에 중식비 15만원, 차비 5만원, 가족수당 (와이프) 5만원이 추가로 붙는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받는 금액은 120만원이다.
여기서, 금고마다 또 달라지는데 내가 다녔던 곳은 보너스가 900% 였다. 즉, 1년 12달 중 9달이 기본급만큼 더 나온다는 얘기인데, 즉 120만원 + 85만원 = 205만원을 받았다. 근데 보통 보너스가 나오는 달 중에서도 제일 적게 받으면 205만원이었고 보통은 또 다른 수당이 더 나와서 통상 세후 230만원 정도를 수령했으니, 세전으로 보면 약 250만원 정도가 됐던 셈이다. 공제수당 제외하고 (위에 설명했듯, 공제수당은 지급날짜가 다르다). 게다가 12월달과 1월달엔 인센티브와 성과급이 지급되서 보너스가 엄청났는데, 2006년 12월 수령한 월급이 세전 430만원이었고, 세후 410만원을 받았다. 금고치고는 꽤 쎄지 않나. 1월엔 320만원을 수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불만스러웠던 건, 보너스가 없는 3개월이었는데 120만원에 세금을 떼면 100만원을 수령했으니, 100만원 수령한 달은 무척이나 힘들었었다. 1년에 3번이면 3개월에 한 번씩이니, 3개월동안 아껴서 1개월 모자라는 돈을 메꿔야 해서 결국은 돈을 모으질 못했다. 물론 행복에 겨운 불만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다만, 난 결혼도 했고 직업이 없으신 홀어머니를 모시고 집 대출이자를 갚아나가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12월 달에 줄 돈을 다른 달에 나눠서 줄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더 심각한 건, 그나마 내가 다녔던 곳은 월급이 매우 쎈 곳이었다. 당시 공무원 출신인 이사장님께서, 금고도 은행수준에 따라가도록 해야하지 않겠나 하셨고, 최소한 매년 물가인상분만큼은 월급을 인상해야 직원들도 먹고살지 않겠냐 하시는 경영방침을 갖고계셔서 내가 다니는 3년간 월급이 동결, 혹은 삭감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2006년 6급 사원의 기본급이 95만원이었다면, 5급 대리는 얼마였을까.
5급 대리는 대략 130만원 정도 했다. 한 35만원 가량 차이 난다. 그런데 단순히 35만원만 차이날까?
금고의 모든 급여는 기본급을 기준으로 지급한다. 저녁 7시 이후의 근무는 시간외수당이라고 해서 야근수당이 붙는데, 이 역시 기본급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보너스 지급달의 5급 대리 월급은 세후 300만원이 넘는다. 중식비, 차비, 가족수당 등등 포함해서다. 공제수당 합치면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세후 300만원을 받는 분들의 "통상 대리급"은 350만원 정도 받을 거다.
이래서, 기를 쓰고 대리를 달려고 하는 거다. 6급에서 호봉 한 개 올라봐야 급여는 한 2만원 정도 밖에 차이가 안나니, 10호봉이 되봐야 5급 쨉도 안된다는 게 여기서 나오는 거다.
4급 과장의 기본급은 약 150만원, 3급 부장은 180만원, 상무는 200만원 정도 했으니 이사장은? 상상이 되실거다. 상무님만 해도 12월 급여는 600만원이 넘었다.
얼마 전 뉴스에, 새마을금고 이사장 후보가 선거를 앞두고 피습됐었다라는 기사를 봤다. 이사장의 평소 업무는, 동네 돌아댕기면서 자금 유치하는 거랑 그밖에 대출 유치, 고객관리 등등인데 이사장 정도면 동네 토박이 혹은 동네 유지 정도 되기 때문에 이사장님 동네 왠만한 분들은 다 아신다. 거의 x랄친구 수준일 거다. 그러다보니 평소에 동네 어르신들이랑 고스톱 치러 댕기신다. 그리고 그게 자연스럽다. 업무시간 내내 금고에 붙어계시면 직원들이 더 힘들기 때문이다. 평소 업무내용보단, 주요경영방침들에 대한 결정에서, 얼마나 현명한 판단을 내리느냐가 이사장의 능력인데 동네 유지분들 이런 능력
갖고 계신분들 많지 않다. 솔직히. 몇 백억의 자산을 가진 회사를 통솔해야한다. 동네 어르신이.
그나마 내가 다녔던 곳은 월급이 매우 많았다. 서울 xx구 통틀어서 가장 월급이 많았다. 그럼 다른 곳은? 다른 금고 5급 대리가 나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이었다. 더 심각한 건, 공제수당까지도 금고가 가져가는 곳이 있단 거다. 거긴, 아무리 열심히 공제 팔아봐야 보탬이 없다. 그래서 그런 곳은 6급직원들이 1년에 몇 명씩바뀐다. 수시로 바뀐다고 봐야한다. 내가 다녔던 곳은 상무 - 경력 20년, 과장 - 경력 15년, 과장 - 경력 12년,
6급 - 경력 5년, 4년, 3년, 3년(본인) 이었으니 그래도 금고인들끼리 봤을 땐 내부적으로 꽤 괜찮았던 셈이다.
기타 복리후생에 관해선 다른 회사와 같다. 4대보험 다 해주고 각종 수당 등 신청할 수 있는 수당들이 많다. 물론 금액이 크진 않다.
그렇다면, 새마을금고가 다른 곳과 다른 점은 뭘까.
내가 알기로 은행은, 은행에서 보장해주는 정년이 7년으로 알고 있다. 7년 근무하고 진급되면 계속 다니는 거고, 안되면 명퇴해야한다. 그런데 새마을금고는 정년을 보장해준다. 만 58세까지 특별한 사고만 안치면 끝까지 다닐 수 있으며 금고법에 의하면 본인이 원하지 않는데 금고에서 일방적으로 짜를 순 없다. 다만 이게 허울 뿐이라는 건, 한국사람들한테는 기본 아닌가. 암튼 그렇다.
내가 다니던 곳은 그랬다. 사고만 안치면 정말 정년 때까지 다닐 수 있었다. 그 좋은 직장을 때려치고 유학을 왔으니, 내가 잘한 건지 못한 건지 아직도 고민된다. 참고로 덧붙이면, 농협도 마찬가지다. 위에 설명한 큰 틀은 농협도 금고와 똑같다. 다만, 농협은 농협중앙회가 있고 단위농협이 있는데 xx농협 이라는 간판이 붙어있으면 단위농협이다. 부평농협, 부천농협 이러면 단위농협이고, 금고와 마찬가지로 독립된 법인이라는 얘기다. 금고와 다른 점이 있다면,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금융기관이며, 월급과 수당이 금고보단 좀 더 많고, 보험을 팔아도 수당이 없고, 보험 외에 쌀도 팔아야하고 이것저것 팔아야할 게 좀 더 많다는 점이다.
7. 연합회
새마을금고 연합회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다. 15층짜리인가 몇층짜리인가 암튼 꽤 큰 빌딩 전체를 소유하고 있고, 수많은 부서가 있다.
(참고로, 대부분의 금고는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 새마을금고가 들어서있는 빌딩은, 소유주가 금고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솔직히, 연합회에 대한 건 다른 직원들에게 들은 것 외엔 아는 게 없다. 금고와 똑같이 연봉이 아닌 월급-호봉제도라는 점, 월급이 훨씬 쎄다는 점, 정년이 보장된다는 점, 신입사원의 선발기준이 금고와는 차원이 틀리다는 점이 있겠다. 보통 규모가 작은 금고는 (설령 크다고 하더라도) 6급 사원의 연봉이 1,800만원도 채 안되는 곳도 있는데, 연합회 신입사원의 초봉은 대략 3,500만원 정도로 1금융권과 비슷한 수준으로 연봉이 책정되어 있다고 들었다.
내가 일할 때만 해도 소문이, 연합회의 부실이 어마어마하다고 했는데 이게 공제판매 압박으로 연결된다는 점과, 결국 연합회의 부실을 전국의 금고가 떠안아야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금고직원은 연합회를 별로 안좋아한다. 일단은 공제 때문만이라도.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연합회 직원한테 잘못 대하면 이득될 건 없다. 어차피 금고는 연합회의 지시 및 감독을 받기 때문에. 물론 연합회 직원이라고 해서 금고를 무시하거나 하는 경우는 결코 없다. 그랬다간 열받은 금고에서 공제를 안파는 수가 생기고, 금고에서 공제를 안팔게 되면 연합회의 타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합회 특정직원에게 불만이 있는 금고가 생기면 그 해당 직원은 앞으로 연합회 생활하는데 지장이 크다. 실제로, 2006년도에, 내가 다니던 금고에서 손님의 공제 보상처리를 원활하게 안해줘서, 상무님이 연합회 공제과 차장님한테 컴플레인을 좀 했더니 재떨이가 날아다녔다는 소문과 함께 해당 직원이 평생승진불가라는 중징계를 받았다고 한다. 물론 소문이다. 같은 편이니 서로 공생공사 하는 거다.
연합회에는 연합회장이라는 분이 계신데, 이 분은 각 금고의 이사장님들 사이에서 선출되는 분이다. 통상 이사장님들이 정년퇴직을 하신 60대임을 감안하면 연합회장님 역시 연세가 아주 많으신 분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겠지만 통상 이사장님들은 연세가 많다.
8. 수익구조
은행은 기본적으로는 고객들에게 받는 예탁금과, 대출해주고 받는 이자에서 발생된 차액으로 돈을 번다. 금고는 거기에 공제이익을 더 추가한다. 그런데, 대출이 한창 안나갈 때는 큰 돈이 놀고있으면 금고 측에선 손해를 보기 때문에 돈을 굴려야하는데 보통은 증권회사 상품에 투자를 한다. 투자금액은 몇 십억 단위이기 때문에 당연히 VIP 대접을 받는다.
금고직원은 평소엔 업무를 봐야하니 금고직원이 증권사 가서 일보는 경우는 절대 없다. 증권사 직원이 금고로 찾아와야한다. 부자들 찾아다니며 설득시켜 몇억 예치하는 것보단 금고 찾아와서 몇십억예치하는 게 빠르고 편하지 않은가? 다만 추천해준 상품에서 손실이 나면 신뢰를 잃고, 신뢰를 잃으면 해당 증권사 혹은 증권회사 직원과 거래를 끊는 경우는 종종 생긴다.
반대로, 수익이 많이 나는 증권사의 경우 해당 직원의 승진이 일사천리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봤다. 왜냐면 수익이 많이 나니깐 그만큼 금고에서도 그 직원을 믿고 더 큰 금액을 투자하기 때문에.
FP를 공부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투자방법의 기본은 분산투자다. 따라서, 금고 역시 수많은 상품에 투자를 하고 있는데 보통 이걸로 큰 수익을 기대하진 않는다. 물론, 수익이 크게 나면 좋겠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인가. 고객한테 예치받은 돈 중에 한 300억원이 고스란히 놀고있다면, 나중에 손님들 이자는 무슨 돈으로 줄건가. 따라서 어떻게든 돈을 굴려야한다.
나는 대출 (여신), 예금계(수신), 출납, 자금운용, 보험보상처리, 보험판매 등의 업무를 봤다. 한 마디로 금고에서 할 수 있는 업무는 다 해봤다. 보통 대출은 "은행의 꽃"이라고 하는데, 내 경우는 대출은 아무리 해도 적성에 안맞더라. 난 자금운용 쪽이 더 재밌었다. 물론 매우 힘들었지만.
9. 타 은행과의 관계
요즘은 새마을금고도 수표를 발행한다. 즉, 옛날엔 안됐단 말이다. 대략 2009년쯤엔가 방학이라 한국을 잠시 방문했는데 같이 일했던 선배한테 수표에 관한 얘길 물어보니 이제 금고도 수표를 발행한단다. 근데 이게 참 웃기는 부분 중 하나이며, 매우 스트레스 받는, 그리고 매우 자존심 상하는 부분 중 하나다.
금고손님도 몇십억씩 거래하시는 분이 있다. 어떤 손님은 처음 통장개설하는데 17억으로 통장을 개설하셨다. 이분들, 한 천만원 출금하고 싶은데 금고가 수표발행이 안되면 어떡해야할까? 전부 현금들고 가는 건 아주 위험하다. 당연하다. 따라서, 근처 은행에서 수표를 발행해갖고 와야하는데, 일하다 말고 손님들 수표 한 장 한 장 발급해줄려면 기다리는 손님도 짜증나지 않을까.
그래서, 보통 금고에서는 거래하는 해당 은행에 몇 억원 정도를 예치시켜준다. 물론 해당 은행이 요구하는 거다. 은행도 지점들끼리 경쟁하는 게 있어서 예치고가 얼마네 대출이 얼마네 한다. 그래서 금고가 일정액 이상을 예치하는 조건으로 금고에 수표를 발행해준다.
내가 일했던 곳에선, 매일 아침 은행문 열자마자 10만원권 100장, 100만원권 20장, 500만원권 4장, 1,000만원권 2장을 발행해서 각 직원들이 업무를 시작한다. 남는 수표는 은행 마감시간 때 은행에 도로 갖다준다. 그러면, 은행은 그 수표를 재활용할까? 아니다. 금융결제원으로 넘겨서 전량 폐기한다. 그래서 금고를 싫어한다.
물론, 금고를 싫어하는 이유는 해당 지역에 있으면서 손님을 뺏어가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경영진 선에서나 고민하는 문제고, 일반 직원들이 싫어하는 이유는 업무적으로 귀찮게, 힘들게 만들기 때문에 금고를 싫어한다. 그런데, 이것보다도 더 싫어하는 게 현금처리이다. 자세히 알아보자.
새마을금고 각 지점도 내부에 현금을 보관하는 자체 금고가 있다 (단어가 중복되서 해깔리시겠다). 금고 안에 일일 영업 후 남는 돈을 보관하는데, 금고 안에 돈을 많이 보관하면 당연한 말이지만 위험하다. 따라서 일정액 이상이 되면 금고에 쌓인 현금을 처리해야하는데, 보통 대형 은행의 경우는 현금호송업체를 불러 한국은행으로 현금을 보낸다. 그런데, 새마을금고는 2금융권으로 분류되, 한국은행으로 송금할 자격이 안된다. 연합회에 현금을 보내면 된다고 들었는데, 현금호송업체에서 한 번 호송할 때마다 20만원인가? 암튼 비용이 발생하고, 그걸 아끼기 위해서 금고는 무작정 은행에 입금을 시켜버린다.
액수는 보통 최저 5천만원에서 1억까지도 입금시켜봤는데, 액수가 크니깐 은행이 좋아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요즘은 고객이 현금으로 저 정도 액수를 들고가면 싫어하는 표정을 짓는다고 한다. 왜 그럴까.
첫번째 이유는, 창구직원이 저 많은 돈을 다 세야한다. 5천만원 지폐계수기로 세면 얼마나 걸릴까? 내 경험상 혼자 세면 최하 10분 이상 걸린다. 세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지폐 띠지로 또 묶어야한다. 지폐 띠지로 돈을 묶으면서 직원의 도장을 찍게 되는데, 여기서 돈을 잘못세면 모자라는 돈은 도장 찍은 직원이 물어내야한다. 게다가 새마을금고가 입금한 돈 때문에 은행금고에 현금액수가 규정액 이상으로 넘치게 되면, 은행도 마찬가지로 현금을 처리해야하고, 새마을금고 때문에 현금호송을 불러야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겨버린다. 이래서 은행은 새마을금고를 싫어한다. 그런데 다른 금고직원들 만나서 이 얘길 하면, 자기네는 아무렇지 않게 현금을 받아준다고 한다. 처음엔 좀 의아해 했었는데, 사정을 알고보니 해당 은행이 타 지점에 비해 손님이 좀 적은 곳이었고 내가 가던 곳은 평소에도 대기인이 20명 이상씩 되는 매우 북적거리는 지점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내가 가던 은행은, 주로 그 은행의 현금호송날짜에 맞춰서 현금을 입금하는 식으로 했다. 최대한 그쪽에 춰줘야지 어떡하겠는가. 이러다보면 가끔 해당 은행직원이 짜증을 낼 때가 있는데, 이럴 때 난 내가 은행에 다니는지 보험회사에 다니는지 모를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야만 했다. 명색이 금융기관이, 현금을 처리할 데가 없어서 다른 은행 가서 입금을 해야하나하고. 그래서 은행직원이 짜증을 내더라 라고 상무님한테 얘기하면, 그 얘기가 이사장님한테 들어가고, 그게 다시 그 은행 지점장한테까지 들어가니 직원들은 우릴 점점 더 싫어할 수 밖에.
말이 나왔으니 잠시 하겠는데, 내가 다녔던 금고의 이사장님은 공무원 출신으로써 xx구청장과도 친분이 두터웠으며 그 동네에서 자라서 평생을 살아오신 분이라 명망이 매우 높으신 분이었다. 2006년도, 내가 다녔던 금고의 30주년 행사에는 구청장님이 직접 오셔서 인삿말도 해주셨고, 그렇다보니 거래 은행의 지점장과 차장님 한 분이 본 행사에 직접 참여를 해주셨다. 한국 최대은행 중 한 은행의 지점장님이 일개 동네 새마을금고 행사에 참가한다는 건, 나 스스로에게는 영광이라고 생각될만큼 나 혼자 오바했었다.
금고도 수표를 발행하는 지금은 현금을 어떻게 처리할까? 선배한테 물어봤더니 똑같다더라. 수표를 발행만 해주면 뭐하나. 현금처리는 여전히 은행을 통해야하는데. 내가 근무했을 때도 그랬었지만, 그 은행은 금고와 거래를 끊고 싶어했다. 그래서 지점장 통해서 펀드와 예치금을 대략 15억 가까이 했었다. 그러니 지점장이 새마을금고 부탁이면 뭐든 들어줄 수 밖에.
말 나온 김에 일화를 좀 소개해드린다.
어느 날인가 유난히 현금이 많이 들어왔다. 그래서 은행에 사정을 좀 해서 1억인가를 겨우 처리했는데 한 며칠 지나지 않아서 또 다시 현금이 1억이 쌓였다. 어떻게 처리했을까?
금고 옆에 큰 병원이 하나 있었는데, 그 병원 건물 안에 우리가 거래하는 해당 은행의 다른지점 ATM 기계가 있었고, 여기다 5천만원을 전부 입금시켰다. 참 웃기지 않나? 금융기관 직원이 은행 ATM가서 현금 입금시키고. 참 쪽팔렸었다. 물론 액수가 크니깐 혼자는 안갔지만. 나중에 ATM기에서 입금한 목록이 쭉 찍혀있는 통장을 본 해당은행 직원은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우리가 안받아줘서 ATM 갔구나" 라고 생각하겠지만, 그 사실 자체가 같은 금융인으로써 창피한 일이 되버린 거다. 난 나름대로 금융기관 다닌다는 자부심이 있었는데 말이다. 비록 금고라 할 지라도.
또 다른 일화가 있다. 어느 날이었는데, 그 날이 그 달 말일이었다. 31일.
현금이 너무 많아서 한 5천만원 정도만 입금시키고자했는데, 혼자 갔다와야할 일이 생겨서, 요 앞에 있는 은행임에도 불구하고 안전상 이사장님 차를 타고 갔다. 큰 쇼핑백에 돈을 넣고. 근데 그 은행 과장님이 어이없다는 듯, 같은 업계 사람으로써 말일날 현금 갖고오면 어떡하냐고, 너무하는 거 아니냐는 식으로 반농담 반진담으로 얘기했다. 그래서 결국 돌아설 수 밖에 없었는데, 문제는 쇼핑백에 담긴 5천만원. 이거 들고 다시 금고로 가나?
액수가 한 두 푼이 아니다. 은행문을 닫고 나와서 다시 금고로 전화를 했고 데리러 갈테니 그 앞에서 기다리라고 했는데, 막상 기다리니깐 무섭기 시작했다. 그 은행이 시장에 있는 어느 상가 건물 1층에 있었는데, 상가입구에 나 말고 다른 사람들이 두어명 서있었고, 은행 뒷문에서 나오는 나와, 내 손에 들려있는 쇼핑백을 번갈아가면서 쳐다봤다.
얼마나 무서운지 상상이 되시는가? 5천만원이다. 자그마치 50,000,000원. 쇼핑백에 든 돈이 다른 사람과의 몸싸움에 의해 떨어지게되면, 참고로 띠지에 의해 묶인 돈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끊어지기 때문에, 5천만원 떨어뜨리면 아마 주변은 삽시간에 난장판이 될 거다.
참고로, 금고는 은행에 현금을 입금시킬 때 직원 2명이서 가스총을 소지하고 이동하게 되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부적인 과정을 알고있는 사람들이 계획적으로 날치기를 시도하는데, 얼마나 많이 날치기 당하는지 주기적으로 연합회에서 꼬박꼬박 공문이 내려온다. 게다가 이게 사전에 금고직원과 모의된 일인지, 아니면 정말로 날치기 당한 건지는 누구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잘못하면 금고직원이 뒤집어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생각을 하니깐 별의별 생각이 다 들더라. 우리 집이 싯가 얼마 짜린데, 이거 털려서 만약 내가 뒤집어쓰면, 5천만원 물어낼려면 집을 팔아야하나 말아야하나 등등. 지금 생각해도 아찔한 경험이었고 금고의 큰 문제점 중 하나이다.
다시 돌아와서, 증권사와의 관계는 다르다. 위에 설명했듯이. 거긴 현금으로 갖다줘도 찍소리 안한다. 투자를 해주는 것만도 감지덕지인데. 물론 내가 다녔던 금고가 투신상품에 투자를 좀 많이 하긴 했지만, 우리 금고가 거래했던 증권사는 대부분 지점장님이 직접 오셨고, 아니면 적어도 차장급이 직접 왔었다. 이런 거 보면 재밌긴 했다. 증권사도 나름 매우 큰 금융기관인데 금고와서 열심히 영업해야하니깐. 증권사에 서류적인 업무를 좀 부탁해야할 일이 있는데, 전화받는 일반 사원이 업무처리를 잘 안해주면 바로 지점장하고 직접 통화했다. 이것도 재밌는 경험이었다.
10. 직원의 수준
난 고졸이었다. 위에도 설명했듯. 금고의 채용공고를 보면 보통 전문대 이상 학력을 소지한 자를 뽑는다. 어떤 곳은 4년제 대학출신을 뽑기도 한다. 하지만, 금고의 업무 범위가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좁기 때문에 나같은 고졸을 뽑아도 별 문제가 없고, 실제로 내가 일했을 때 당시 6급 직원 6명 중 고졸이 3명이었다. 나를 제외한 2명은 경력이 4년, 5년차였다.
새마을금고의 이념 중 한 부분이 교육이다. 새마을금고는 전국 최고 수준 시설의 연수원을 천안에 보유하고 있다는데, 소문이 그런 게 아니라 실제로 시설이 전국 최고 수준이란다. 이곳은 새마을금고 직원 뿐만 아니라 타업체도 유료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금고직원의 교육은 무료다.
금고직원은 금고법에 의해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한다. 신규교육 및 직급별 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많다. 보통 4박 5일에서 3박 4일 정도이며 금고에서 교통비를 지급한다. 문제는, 각 금고에서 직원 한 사람 없으면 업무보기 힘드니깐 교육을 잘 안보낼려고 했다.
1년마다 신규교육은 몇 번, 대출교육은 몇 번, 이런 식으로 직무별 교육회차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전국의 금고에 통보하면, 금고 실무책임자는 해당 직원의 교육신청을 받는다. 내가 다녔던 금고는, 실무책임자가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했던 분이라서 모든 직원이 모든 교육을 다 가야만 했다.
본인은 신규직무교육 때 전국 1등을 했다. 머리가 좋아서가 아니라, 금융분야에 관심이 있고 좋아하고, 연수원에서 다른 사람들처럼 밤에 술먹고 놀지 않으면 가능하다. 물론 운이 조금 따른 것도 있었다. 이 외에도 주기적으로 직원소양평가라는 걸 실시해서 직원들의 직무이해도를 평가하는데, 매우 스트레스 받는다.
시중은행은 잘 모르겠지만, 금고는 직원들간 "실력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알아보자.
금고의 업무범위는 은행에 비해 매우 좁아서 경력이 3년 이상이면 금고 내 거의 대부분의 업무를 알게 된다. 따라서 경력 3년차부터는 업무를 알고 모르고가 아니라 실력이 좋냐 나쁘냐가 생긴다. 예를 들어보자.
한 손님이 2천만원짜리 정기예탁금 통장이 4개가 있다.
1개는 비과세, 2개는 세금우대, 1개는 과세다.
비과세는 그대로 1년으로 다시 묶고 2개 중 하나는 아들 이름의 비과세로 묶는데, 아들이 미성년자니깐 한도가 1,500만원이다. 나머지 500만원과 다른 세금우대를 합쳐서 6개월짜리로 하나를 묶는다. 과세는 일천만원권 수표 2장으로 인출한다.
읽어보니 별로 어렵진 않다. 하지만 경력이 3년차가 되도, 못하는 직원은 늘 버벅댄다. 이건 아무 것도 아니다. 더 어려운 주문을 하는 분들도 있는데 문제는 중간에 실수를 하게되면 이 실수를 정정하는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데 문제가 있고, 여기서 은행과 금고의 차이가 생긴다. 은행은 수많은 손님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 실수에 대한 정정작업이 매우 간소화 되어있는 (걸로 알고있는) 데에 반해, 금고는 아직 그렇질 못하다. 따라서, 실수를 하게 되면 VIP를 상대하는 책임자 입장에선 짜증이 나게되고, 여기서 실력이 좋냐 나쁘냐가 나온다. 참고로 금고는, 1원을 입금해도 전표가 발생된다. 전표번호가 발생됨을 말하는 게 아니라 전표를 프린트해야한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가 일할 땐 그랬다.
물론, 경력이 몇십년씩 되는 분들도 실수를 한다. 내가 보고 겪은 바로는 금융권은 실수에 대해 좀 관대한 편인데,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고 실수한 것 때문에 괴로워하고 야단치고 하는 것보단 차라리 빨리 정정해서 고객의 요구를 빨리 처리하는 편이 더 낫기 때문이다.
종합해보면, 비록 금고직원이라고 할지라도 결코 은행원들의 업무수행능력에 뒤지지 않는 지식과 실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 은행만큼 좋은 기계를 쓰지못하는만큼, 금고직원들의 손이 더 빠르다고 말할 수 있겠다. 참고로 본인의 한글타자속도는 분당 단타 최고기록이 897타다. 내가 2년차일 때, 3년차 선배 중 한 명은 다른 일을 하고싶다는 이유로 사표를 냈고 얼마 안있어서 기업은행에 취업을 했다. 그외 내가 유학온 뒤로 2년 후에 다른 후배가 사표를 냈고 얼마 안있어서 외환은행에 취업을 했다.
11. 새마을금고 속의 또 다른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는 지역금고 외 직장금고라고 해서, 회사 내 금고를 설립할 수도 있다. 매우 많은 직장금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삼성전자 새마을금고가 있다. 내가 알기론 삼성전자 직원 외엔 통장개설이 안되고, 당 금고직원들의 연봉수준도 해당 직장의 연봉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간다고 한다. 개인택시조합 금고도 있는데, 한국에 개인택시 엄청 많은 것만큼 금고규모도 엄청나다. 대부분의 직장금고들은 규모가 엄청나다. 또한 연봉수준도 다르고 공제나 기타 다른 스트레스가 없다고 한다.
12. 새마을금고 상조복지회
새마을금고는 각 금고와 연합회, 연수원 말고도 상조복지회라는 기관이 있는데, 말 그대로 서로 돕는 기관이라는 의미다. 사실, 쇼핑몰이나 다름없다. 다만, 금고직원들에게만 시중보다 좀 더 싸게 공급한다는 건데, 최근 몇몇 유명지의 리조트나 호텔 등을 매우 싸게 렌트할 수 있도록 나와서 인기폭팔이다. 본인은 짬밥에 밀려 가보질 못했다. 어차피 등장한 게 2006년도이고, 유학을 온 게 2007년도이니 못가보는 게 당연하겠지.
13. 끝으로
새마을금고는 현재 금융감독원 소속이 아니라 행정안전부 소속이다. 그래서 말이 많은데, 솔직히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일반 6급사원으로는 피부에 와닿질 않는다. 소속이 바뀌면 뭐가 다른지.
금감원 감사 뜨면 다들 피똥 싼다고 하는데, 사실 연합회 감사만 떠도 실무책임자가 힘들지만 결국 연합회나 금고나 한 가족이기 때문에 경영상 비리나 혹은 큰 오류만 없으면, 결국 팔은 안쪽으로 굽는만큼 큰 문제는 없었다. 게다가 내가 일할 때 당시 금감원 감사 뜬다고 한창 긴장했었는데, 내가 다녔던 금고는 우량금고라서 연합회의 우리 담당지부에서 우리 금고는 감사를 안받어도 되게끔 신경을 써줬다고 한다. 물론 금고가 전국에 워낙 많다보니 금감원에서 일일히 다 가볼 수는 없는 일이고하니 부실금고 중 가장 부실이 큰 곳엘 갔겠지.
특히나, 내가 다녔던 금고의 실무책임자가 그 동네 유지집안 출신이었는데 엄청 부자였다. 어차피 월급도 많은데다 집안 자체가 워낙 부자여서 돈 욕심이 없었는지 매우 깨끗하게 경영을 해서 연합회 직원들이 우수금고라고 칭찬을 꽤 많이 했었다.
미국에 살면서 접하는 인터넷 뉴스를 보면, 새마을금고는 보이지도 않는다. 거의 대부분 제 1 금융권에 대한 소식이고, Finance를 배우다보면 새마을금고에선 접할 수 없는 그런 지식을 배워야하기 때문에 금고에서 자금운용을 할 때 재밌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매우 어려웠지만 그만큼 배운 것도 많았다. 그러다보니 수신업무는 정말 아무 것도 아니었다. 아무튼, 타국에서 금융소식을 접하면 새마을금고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든다. 그래도 3년 가까이 다닌 직장이고, 아직도 직원들과 연락하고 만나는 관계이고, 유학 끝나면 다시 돌아오라는 전무님의 부탁은 아직도 날 새마을금고에서부터 떨어질 수 없게끔 만드는 애착심을 갖게 한다.
하지만, 금고에서도, 연합회에서도 강조하는 공제만이 살 길이다 라고 외치는 모습은 단순히 말단 직원의 업무적 스트레스보다는 앞으로 금고가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경영방침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금고도 이제는 은행과 같은 수준이 되야만하고 은행처럼 투신상품 등을 취급할 수 있게끔 구조적인 조정에 힘써서 여수신, 공제 외 다른 수익모델을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쓰다보니 꽤 많은 분량을 썼다. 원래 내가 느낀 것만 쓸려고 했는데 쓰다보니 잠시 흥분했는갑다. 이 외에도 참 할 말이 많다. 하지만 지난 날을 푸념할려고 적은 건 아니니 여기서 끝내도록 한다.
Class : ESL100
In the past, a lot of poor people couldn't go to school because they didn't have money. These days, nobody says they can't go to school because they don't have money. That's why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education of the citizen until high school. Nevertheless, poor students do not have equal opportunities of education. For their poor students, school should do something.
80% of People in Kansas city are poor people. They dont have computers at home. A public school in Kansas city has provided free laptop computers for their poor students who don't have any computer at home. As they can use a free laptop computer at school, they get a equal opportunities to an education and make them proficient in computer skills. Therefore, the school in Kansas city could reduce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students.
Indeed,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seemingly successful program. How can the school provide free laptop computers? The laptop computers are very expensive. A lot of tax in Kansas city might have been spent for the free laptop computers. Moreover, how do rich or middle-class people think about it? They probably want to get a free laptop computer. However, I think this program is a very excellent program for the poor student.
퍼가실 때는 본 블로그 주소인 출처를 반드시 퍼가신 곳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퍼온 글이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한 글임을 밝혀둡니다.
난 하와이 산다. 다른 글엔 안적혀있지만 난 늦깍이 유학생이다.
열라 좋은 회사 취직한 내 여동생을 보고 자극받아서 3년 다닌 은행 다니면서
3달 만에 고민하고 결정내려서 2달 만에 미국땅을 밟았다.
고모가 하와이를 살고계셔서 여기로 온 게 가장 큰 이유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알아본 바로는 하와이는 영어 배우기 딱 좋은 곳이다. 그건 지금도 부인하지 않는다.
하와이하면 다들 생각하는 게 뭘까.
와이키키 해변, 진주만, 요즘 최고의 신혼여행지로 손꼽히는 마우이 정도?
그래. 하와이가 아름답긴 하다. 날씨? 정말 죽인다. 환상적이다.
낮에는 햇빛이 쨍쨍하지만 습도가 적어서 그늘에만 들어가면 엄청 시원하다.
바람도 많이 분다. 저녁엔 살짝 추울 정도로 나처럼 더위 잘타는 사람은 아주
시원하다. 밤에 잘 때 창문 열어놓고 자면 정말 천국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들만큼 날씨하나는 기가 막힌다.
그러나...
사실, 처음 와서는 많이 실망했다. 한국으로치면 한 80년대쯤으로 보이는 집들
모여있는데가 그냥 일반적인 곳이었고 듬성듬성 초고층 빌딩들이 자리하고 있다.
아마도, 한국하고 다른 모습인 건 이 부분이 아닐까 싶다.
한국은 초고층 빌딩이 숲처럼 우거져있지만, 여기는 2-3층짜리 단층 건물이
엄청 많고 군데군데 높은 빌딩들이 서있어서 익숙치 않은 장면을 보여준다.
어쨌든, 대부분의 건물이 낡고 헐었으며 집 안에는 우리가 흔히 생활하는 마루가
아닌 낡고 더러운 카펫이 깔려있었다. 울 와이프는 고모집에 도착하자마자 유학
온 것이 후회되는 순간이라고 했었다. 최근에 지어진 집이나 레노베이션을 해놓은
집들은 카펫이 깔려있진 않지만, 카펫이 마루보다 월등히 값이 싸기 때문에 카펫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처럼 겨울철 거실에 까는 카펫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와이키키 나가니깐 그래도 하와이 온 것 같은 기분이 들더라. 연한 초록빛 바다에
초고층 호텔들이 쭉 늘어서있고 와이키키의 주 도로인 Kalakaua Ave에는 온갖
샤핑몰이 늘어서있다. 지금도 와이키키 나가면 재미있고, 사람 사는 기분 든다.
반면, 하와이 주민들 사는 지역인 마키키, 알라모아나, 맥컬리, 칼리히,
솔렉, 하와이카이 등의 지역을 보자.
그래. 알라모아나는 세계 최고의 샤핑센터도 있고, 바로 앞에 해변이 있다보니
아무래도 좋은 집들 많다. 월마트 뒷쪽 Sheridan St 주변지역을 보자.
<위험하진 않지만 인적이 드문 월마트 뒷편 Makaloa St >
접대부 아닌 접대부들 나오는 술집부터 도박 하우스 많기로 잘 알려진 동네다.
주택가다보니 해 떨어지면 사람이 안다닌다. 물론 하와이가 미국에서 가장 안전한
동네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이 동네는 여자 혼자 다니기엔 조금 걱정될만큼 불안한
동네다.
마키키. 렌트비 싸고 조용한 동네다. 근데 지역상 참 애매한 동네다. 학교 다니려면
버스를 최소 한 번은 갈아타줘야하고, 알라모아나도 와이키키도 조금씩 멀다.
게다가 비도 자주 온다. 역시 해 떨어지면 사람 안다닌다.
맥컬리. 유학생들한테는 좋은 위치다. 버스타기 편하고 학교 가깝고 렌트비 싸고.
근데 월마트 멀다. 알라모아나 역시 멀다. 걷기는 좀 뭐하고 버스타기엔 버스가
잘 안오니 기다리는 게 지x같고. 전체적으로 건물들도 많이 낡았고.
칼리히. 동남아애들 모여사는 곳이다. 밤에 걸어다니면 100% 사고나는 동네라고
한다. 매우 위험한데 그래도 한국사람 살긴 한다. 렌트비가 싸니깐.
솔렉. 열라 멀다. 자가용 끌고가면 40분 이상 걸릴텐데 한국과는 달리 여기는 차로
30분이면 엄청 먼 곳이다. 이건 와서 살아봐야 느낄 수 있다.
하와이카이. 부자동네다. 나같은 유학생이 논할 수 있는 동네가 아니다.
하와이 인구비율을 보자. 정확한 자료는 아닌데, 대충봐도 일본인 40%,
필리피노 및 기타 동남아/섬 애들 30%, 백인 20% 기타 10% 되는 것 같다.
가끔 와이키키에 있는 갤러리아 백화점 가면 내가 미국에 살고있는지 일본에
살고있는지 해깔릴 정도다. 백화점 내 안내방송도 일본어로 먼저 나오고
그다음 영어가 나온다. 고객의 90%는 일본인이다.
울학교, 나 처음 들어갔을 때 ESL반 30명 중 20명 일본애들이었다. 얘네들은
관광도 많이 오고 살기도 많이 산다. 아주그냥 하와이는 일본땅 같다.
자료 같은 건 아니고, 내가 가서 주위를 둘러보면 대체 일본인 말고는 보이질 않는다.
사실, 일본인들은 하와이에 대한 환상이 있다고 한다. 하와이를 엄청 좋아하고,
하와이에서 나오는 물건이라면 뭐든 좋아한다고 한다. 옛날 진주만 폭격사건을
겪고도 이 많은 일본인이 들어오는 걸 보면 참 신기하기도 하다.
필리피노. 칼리히 지역에 모여사는데 얘네들 인구 이렇게 많아도 하와이 내에서
인재 하나 배출한 적이 없단다. 부모들이 교육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그렇다고들
하는데, 필리피노 친구가 없어서 잘 모르겠다.
백인. 세계에서 백인들이 차별받는 곳이 이곳 하와이가 아닐까. 세계에서 동양인에
대한 차별이 전혀 없는 마인드를 가진 백인이 이곳 하와이 출신 백인이 아닐까.
이것 이외엔 백인에 대해서 별로 소개할 게 없다. 와이키키에 있는 백인들은 다
관광객이다. (참고로, 이곳 하와이 사람들은 와이키키 잘 안간다. 물 더럽다고)
이제 한국인 차례다. 하와이 내 한국인은 35,000에서 4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하와이 대학교 총원이 4만명이란다. ㅎㅎ)
너무 인구가 없다보니 인맥관계가 너무 좁아서 어떤 사람이든 한 다리만 건너면
전부 다 아는 사람이다. 이게 무슨 말인고 하니,
내가 학교에서 A하고 잘 아는 사이다. 그런데 등교길에 같이 버스타는 B가 있는데,
얘가 한국인인건 확실한데 모르는 사이라서 말걸긴 좀 그렇다. 그래서 난B랑 좀
친해지고 싶어서 A한테 B 아냐고 물어보면 잘 아는 사이다. 이게 거의~~~~ 다
통한다.
이렇게 말해도 잘 이해가 안가는 분은, 내가 실제로 겪은 일을 소개한다.
실화라고 하기엔 너무 거창한 아주 평범하고 또 여기서는 자주 일어나는 일 중
하나이다.
지난 달에 맥컬리로 이사를 왔다. 친한 동생 둘이서 이삿짐을 날라주고 교회 형이
트럭을 갖고있어서 도와줬다. 근데 이 친한 동생 중 한 명이, 한 6개월 전쯤에
이사를 가야했었는데 1달 정도 공백기간이 있어서 딱 1달만 살 수 있는 집이 급하게
필요했고 다행히 때마침 딱 1달만 같이 살 사람이 필요하다는 어떤 형이 있었단다.
그래서 다행이다싶어 그 집에서 딱 1달을 살고 나왔다. 근데 웃긴게, 이 트럭을
운전해준 형이 방금 얘기한 이 집에서 살다가 잠깐 1달 동안 나와서 살 일이 생겨서
1달 동안만 잠시 나왔었단다. 결국 여차저차해서 서로 다 아는 사이가 되버린거다.
또, 이 동생을 데리고 내가 다니는 교회에 데리고 갔다. 근데 울 교회 한 여자애가
이 동생 친척형 여자친구와 친구란다. ㅎㅎㅎ
이런 식으로 여기 하와이에서 한국사람들은 어떻게든 다 엮이고 엮인다. 너무 좁아서
죄 짓거나 사고치면 동네를 떠야한다. 어떻게 보면 그래서 더 좋을 수도 있을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나쁜 사람 많은 곳이 하와이이기도 하다. 더 재밌는 건, 이렇게
좁은 동네에서도 술집가서 술집 여자 만나고, 다른 남자랑 바람도 피우는 곳이다.
나 아는 여자 유학생은, 미국은 아직 하와이 밖에 모르지만 하와이 때문에 미국이란
나라가 너무 싫어졌단다. 한국음식점에서 웨이츄레스로 알바하는데, 태어나서
이렇게 열심히 일해본 적이 없단다. 울 와이프도 이 식당에서 알바한다. 처음엔
매일 울었다.
어찌보면 누구나 다 외국생활이라고 하면 환상을 갖고있는지 모르겠다. 물론 나도
그랬으니깐.
유학생활 해보신 분이거나 외국생활에 관심이 있는 분은 다 아시겠지만, 사회적인
제도 자체가 한국이랑 많이 다르다보니 한국에서의 각박한 생활이 여기서는 아주
먼나라 내지는 후진국의 이야기처럼 들리는 게 사실이다. 내 친한 친구 중 한 명인
이곳에서 자라온 한국인 1.5세는, 한국에서 1년을 살아본 친구다. 그래서 한국생활에
대해서 아주 잘 안다. 하지만, 한국처럼 하루에 10시간 가까이 일하고 죽어라 돈
모아야하고 이런 사회자체가 잘못된 거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렇다면 그가 자란 이 하와이는 어떨까?
솔직한 내 의견으로는, 여기 하와이 사람들 아주 짜증난다.
시간약속 제대로 지키는 법이 없고, 뭐 하나 부탁하면 2-3일 걸리는 건 기본이다.
일례로, 부동산 회사에 전화해서 좀 따질 게 있었다. 아무래도 따지는 건 영어실력이
딸리는 나로선 불가능한 일이니깐 이 친구한테 부탁했다. 한 4일만에 전화해줬다.
물론, 알면서 안해준 건 아니다. 본인도 이래저래 할 일도 있고 그러다보니 잊어먹고
전화했는데 그 사람이 자리를 비웠고 나름 이유가 있었지만 어쨌든 그랬다.
사람들 행동도 느려터져서 월마트 같은데 가서 물건 계산하려면 짜증이 제대로 난다.
특히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ROSS 가서 물건 사면 계산하는데만 30분이다.
계산하는데 기다리기 싫어서 물건을 안사고 나온 경우가 한 80%는 된다.
<월마트 맞은 편에 있는 ROSS. 처음에 와서 보고 기절하는 줄 알았다. 매장관리...>
친한 1.5세 친구 중 하나는 이번에 변호사가 됐다. 근데 변호사 되기 전부터 변호사
사무실에서 알바를 했는데, 어쩌다 일이 많아서 8시간 일하다보면 아주 죽는 소리를
한다. 그러면서 하는 소리가 "역시 다운타운에서 일한다는 건 보통이 아니야"
이러고 있다. 옆에서 울 와이프 왈 "아유 이걸 콱~ 꼴랑 7-8시간 일하는 거 갖고..."
과연 뭐가 정답일까? 하루에 딱 6시간만 일하고, 저축 안하고 돈 다 쓰면서 여유롭고
즐거운 생활을 하는 것일까? 아니면 하루에 10시간씩 일하면서 돈 최대한 아껴서
돈 모으고 집사고 차사고 하는 것이 정답일까?
가끔 이 미국이란 나라를 보면, 언젠가는 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너무 많은 이야기를 했다. 원래는 이 글 하나에 전부 다 쓸려고 했는데 쓸게 많아서
그냥 심심할 때 또 쓸 수 있는 연재로 해야하는 게 나을 거 같아서 다음 이야기로
기약한다.
Name : Jung, Seowon
The Superferry may be a necessary evil. Some people want the Superferry to go to the neighbor islands quickly, while other people do not want the Superferry at all because they want to protect the unique environment of Hawaii. I feel the Superferry’s failure to follow the Hawaii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shows a lack of respect for the uniqueness of Hawaii’s environment. For example, the unintended threat of the spread of mongoose, bees and other pests from one island to another has angered many residents. (Mikulina, A11) As the article points out “Hawaii has a very unique environment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Mikulina, A11) Therefore, these unique species need to be protected and preserving the many different ecosystem has been a priority in Hawaii for many years. That’s why they made laws requiring businesses to complete an environmental impact study. In addition, Mikulina(A11) points out that the environmental study is “A common and routine procedure that is followed by everyone from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o other businesses that may impact the environment.” The uprising of the people and the decision by the Supreme Court of Hawaii clearly showed that the Superferry is not above the law.
As a business, the Superferry’s focus may be to make a lot of money. Indeed, everyone wants to make a lot of money. They may also want to be respected as a company that starts a revolutionary transportation system in Hawaii. Unfortunately many animals, marine mammals and insects live in Hawaii as well and they also should be respected. Therefore, the Superferry should start the study of the many possible problems that may affect Hawaii’s environment, consider their responsibilities and listen to public opinions. Without Hawaii’s unique environment, Hawaii will not be the Hawaii we know today. In conclusion, Hawaii has a very unique environment and we have to protect it. With the help of many environmental laws like the Hawaii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Hawaii has been able to upkeep it’s uniqueness. We shouldn’t allow the Superferry to ignore these laws.
Work cited :
Mikulina Jeff, Michaels Judith, and Parker Jeffrey. “Failure to complete study set Superferry
on doomed course” Honolulu Star Bulletin / Monday, 3 September, 2007, A11
Now is the time that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in S.Korea
Essay 2008. 2. 26. 19:05Class : ESOL 94F
Now is the time that Koreans should concern themselves about their environment. South Korea is a developed country. South Korean people have experienced war and the bitterness of life as a colony of Japan. However, many people have accomplished degrees in a variety of fields and South Korea has become a world-class producer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computer technologies. However,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y have succeeded in their economic development efforts, Koreans are now fight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indifferent government behavior, high speed industrialization and people’s lack of responsibility. If these are not dealt with the environment of South Korea will be significantly be damaged.
First because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Korea’s economy, they have shown indifference to destroying the environment. The Korea government has not established laws enough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otecting nature. Actually, the government did not know what the results of impatient industrialization would be in the 1970’s because Korea was an underdeveloped country and Koreans had to fight with famine, starvation and poverty. Even though Koreans made some mistakes, I strongly believe the government is at fault for failing to educate Koreans.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ountry, the government failed to strongly punish some companies for damaging or polluting the environment. For instance, some companies discharged waste-water into rivers and Koreans did not know the pollution was there. After that, in the 1978s, some green activists found out and prosecuted the companies for what they did, but the government only gave those companies a very light penalty. As a result, in spite of creating dirty air, land and water, government officials knew and looked on with folded arms and many owners of companies thought they would be fine no matter what they did, so they did it. Finally, because the government’s behavior was like this, many companies were not concerned bout environmental issues.
The second reason for Korea’s environmental problem is high-speed industrialization. Korean industrialization has been so successful since the 1960s that the shift from an agrarian society to a post-industrial one was accomplished in three decades. (Youngpyoung, 1997) “Miracle on the Han River is a catchphrase often used in South Korea and by scholars to describe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that took place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Korean War up until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particular, this phrase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growth of Seoul -through which the Han River flows - from a city virtually leveled by war to a major economic hub, and the growth of South Korea into one of the Four Asian Tigers.” (Wikipedia, 2007) To develop the country quickly, Koreans built a lot of factories in many places. Model examples are GM Daewoo, Samsung, LG and Hyundai. They have enormous factories and make a lot of jobs. Unfortunately, toxic smoke is emitted from their chimnies. Moreover, some companies discharge waste-water, oil and other factory-wastes without treating these wastes at a disposal plant. In this situation, we have created too many problems for the environment. Basically, Korea is very small and has high density of population. In the past, Korea was based on agriculture, but expanding companies needed many factories. Therefore, the government permitted companies to build on farmland. They also cut down and cleared forests for farming, roads and new buildings. Korea had insufficient natural resources. Therefore, Koreans had to develop technologies and hunt for talented. Unfortunately, many rivers were getting more polluted gradually as Koreans were developing their technologies and businesses. Eventually, forgetting thei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many companies failed to install air and water purifying systems due to financing problems and lack of government pressure.
A third reason for pollution is the average Korean citizen’s lack of responsibility in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problems. For example, approximately 15 years ago, many Koreans washed their own cars in front of their houses. When they washed the car, they used detergent. An even more serious problem was the motor oil streaming into the sewers from driveways and roads. Finally, the government has prohibited washing cars in residential areas. Now Koreans can only wash their cars in a specific area, which is a designated car wash. Moreover, in Korean neighborhoods trash was piled so high in the trash bin that it overflowed into the busy street, creating both an unsightly mess and a health hazard. In response, the government began to educate the public on separating and recycling garbage because of the average Korean’s insufficient awareness about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rough proper waste management.
Nowadays, many small towns are changing from rural to urban and many small town people are leaving the countryside. According to Dogeun (2007), “A countryside’s academic standard is below the level of a metropolis.”. People have also disappeared from the countryside because they moved to a metropolis for the future of their sons and daughters. In addition, many farmers cannot make money anymore by growing plants and they gave up their job. Basically, the lifestyle of Korean people was based on agriculture but we might need to import rice from other countries now. Farmers have more poverty than before, and eventually they sell their land. Koreans started to build factories where people do not live anymore. However, because of the land to construct factories, agricultural soil was disappeared. Instead of crops, we have been able to see the factories. Many factories and apartments were built on farmland and people and factories are creating a lot of garbage. These trends have resulted in many environment problems. As a result, many problems have been caused for the environment.
A lot of garbage was piled up in a specific place, called Nanji Island. There were no free spaces anymore and the government had to do something. As a result, the government closed down the Nanji Island and started separating garbage there. The government constructed an eco-park on a trash heaps in February 1993 and Nanji Island came back as an beautiful eco-park in May 2002. (Naver Encyclopedia, 2007) In comparison with other parks, Nanji eco-park uses natural energy that purifies itself and generates abundant methane gas from trash heaps and wind power from five enormous windmills. (Naver Encyclopedia, 2007). This is one of good example of dealing successfully with an environmental problem. Fortunately, Nanji Island was the only major landfill in Korea.
On the other hand, some natural treasures might be exterminated by industrialization. The tiger, Peregrine falcon, and Manchurian black bear are examples of animals that are being sacrificed to industrialization in Korea. Some kinds of native trees might be exterminated too. The Han river has turned black. Just a few kinds of fish live there now. Actually, it is difficult to find rivers where healthy fish populations live. Though a little too lat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take measures. However, Koreans are going to have to take much better care of the environment than they do now if they want to save these treasures. The reasons for the death of many species of wildlife are polluted water and air. Seoul’s smog is famous. Moreover, rivers and brooks were polluted by people who fail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roblems. Many factories discharged wasted water into the rivers, oceans and sky without purifiers. There is no question that humans have polluted nature and the habitat of many species of wildlife. We can still find many clean and beautiful rivers and valleys in Korea. However, when people go on a picnic by the river or in a valley in the mountains, they do not clean up their camping ground. Some wash their clothes with detergent in brooks or rivers. Thus, even though they are not factory owners these individuals ignore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However, basically most environmental problems come from human activities.
In conclusion, developing the country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and humans have to choose one of them or find sustainable ways to do business that don’t destroy the environment. It will be most difficult to harmonize with nature, but the door is always open. For all these reasons, I think that the government has to establish stronger laws about protecting Korea’s environment. And first of all, we have to educate our sons and daughter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explain the reasons why nature is important for their future. Everyone has to stand behind their responsibilities.
Works cited:
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of Korea. 2003,
Dogeun, Jeon. Education of Countryside. 11 July 2007,
Naver Encyclopedia, Sky park.
Wikipedia, Miracle of the Han river. 29 Oct 2007.
Youngpyoung, Kim. The Korean Civil Service System. Indiana University on the web.
5 April 1997.